고금도서집성의부전록 (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은 중국 청나라 장정석(蔣廷錫) 등의 편찬으로 1723년에 간행된 의서.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의 일부분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부터 청나라 초기의 문헌까지 의학문헌 100여 종을 분류하여 편찬한 것으로, 고전 의서에 대한 주석, 각과 질병의 변증논치(辨證論治) 및 의학과 관련 있는 예문(藝文), 기사(記事)와 의학자의 전기(傳記) 등을 포괄한다. 전 520권이며, 기초이론, 분과 치료, 논술과 처방 등 내용이 풍부하며, 서술이 체계적이고 전면적이다. 영인본이 나와 있다.
이 책의 정식 명칭은 [欽定古今圖書集成]으로 황제가 친히 명령하여 고금의 모든 도서를 모아 만들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략 康熙 연간에 陳夢雷(1651~1723) 등이 편찬하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가 蔣廷錫(1669~1732) 등이 이어받아 근 50년 만인 雍正4년 1726년에야 완성하였다.전서의 총 권수 1만 권, 1억6천만여자로 현존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백과전서이다. 목록만 해도 40권에다가 經史子集의 문헌 3523종이 포괄되어 있다. 역사정치, 문화예술, 과학기술, 제자백가 등 상고시대로부터 淸初까지 동양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였는데, 天文을 기록한 曆象彙篇, 지리·풍속의 方輿彙篇, 제왕·백관의 明倫彙篇, 의학·종교 등의 博物彙篇, 문학 등의 理學彙篇, 과거·음악·군사 등이 들어있는 경제휘편의 6휘편으로 크게 나뉘어 진다.
이를 다시 32典 6,109部로 세분하였고 각 부는 彙考·총론·도표·列傳·藝文·選句·紀事·雜錄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른바 ‘의부전록’은 바로 이『고금도서집성』중의 일부로 정확히는 博物彙篇 藝術典(2917~2928冊)에 들어있다. 초간본은 武英殿聚珍版 구리활자판인데 매우 희귀하며, 이 책이 조선에 들어오게 된 과정도 상당히 극적이다. 1776년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규장각을 세워 학술자료를 모으게 하고 박제가, 이덕무와 같은 능력 있는 북학파 학자들을 檢書에 등용하는 학예진흥책을 벌였다. 당시 사은부사로 북경에 갔던 徐浩修(1736~1799)는『古今圖書集成』전질을 구해오라는 특명을 받고 떠났다. 하지만 그는 이 책을 구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대단한 귀중본으로 좀처럼 구할 수 없었다. 결국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서 마침내 중개인을 앞세워 翰林院에 뇌물을 주고서야 기어코 銅活字初印本 1질을 구할 수 있었다. 정조는 너무 기뻐서 책의 장정을 새로 잘 고쳐서 창덕궁 규장각의 皆有窩에 소장케 하였다. ‘개유와’란 ‘모든 것이 다 있는 집’이라는 뜻이니 그 기상을 찬탄할 만하다.
또 규장각은 애초에 訥齋 梁誠之(1414~1482)가 세조 재위초기에 설립을 奏請한 바 있으나 실행되지 못했던 것인데 정조대에 이르러서야 이룩되었다. 『의방유취』의 교정 책임자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보건의료제도의 설비, 軍陣醫 확대를 주창하여 의서 출판과 의료정책 측면에서도 큰 족적을 남겼던 양성지의 국가도서관리제도 계획안이 실현되어 마침내 『도서집성』의 수장으로까지 이어진 것은 기막힌 인연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이용되는 流布本은 1884년 上海圖書集成局에서 간행된 것으로 오류가 많고 1890년 上海同文書局이 영인한 것에는 고증이 첨부되어 있어 비교적 정확하다고 한다. 색인으로는 일본 문부성에서 펴낸 [고금도서집성분류목록]이 있고 L. 자일스가 [An Alphabetical Index]를 대영박물관에서 간행한 바 있다. 또『古今圖書集成續錄初稿』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며, 국내에도 이들 다양한 판본과 참고서가 수장되어 있어 참조할 수 있다.실용적인 목적이 뛰어나서였는지 전서와는 별도로 의학부분은 훨씬 더 많이 인쇄되었는데, 초인본을 축쇄영인한 것이 있고 표점과 교정을 가한 연활자본 등 몇 종의 편집본이 나온 바 있으나 교감이 정확치 않고 임의로 산삭한 부분이 있어 고증이 필요하다는 것이 사계의 衆評이다. 또 이들 후대의 편집본을 펴내면서 ‘의부전록’ 혹은 ‘의부전서’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다소 적절치 않은 이름으로 원서명을 고려한다면 ‘고금도서집성醫部’가 정확한 표현이다.
예시문
欽定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
흠정고금도서집성의부전록
醫部彙考 卷一百七十五
의부휘고 175권
背脊門 一
1등과 척추 문
黃帝素問
황제소문
金匱真言論
금궤진언론
背爲陽,陽中之陽,心也。
등은 양이 되며 양속의 양은 심이다.
背爲陽,陽中之陰,肺也。
등은 양이 되며 양 속의 음은 폐이다.
[ 註 心爲陽臟,位處上焦,以陽居陽,故爲陽中之陽。肺爲陰臟,位處上焦,以陰居陽,故爲陽中之陰。]
주석에 심은 양의 5장이 되어 위치가 상초에 거처하며 양으로써 양에 거처하므로 양 속의 양이 된다. 폐는 음장이 되니 위치는 상초에 거처하니 음으로써 양에 거처하므로 양 속의 음이 된다.
陰陽別論
음양별론
二陽一陰發病,主驚駭,背痛,善噫,善欠,名曰風厥。
2양1음이 발병하면 주로 놀라니 등이 아프며, 잘 트림하고 하품을 잘하니 풍궐이라고 이름한다.
[ 註 二陽一陰者,陽明、厥陰之爲病也。背爲陽,厥陰主春陽肝木,故引背痛也。]
주석 2양1음은 양명, 궐음의 병이다. 등은 양이 되니 궐음은 봄의 양으로 간목을 주관하므로 등을 당기는 통증이 된다.
脈要精微論
맥요정미론
背者,胷中之腑,背曲肩隨,腑將壞矣。
등이란 가슴 속의 부로 등이 굽고 어깨가 쳐짐은 부가 장차 무너지려고 함이다.
[ 註 肩背爲陽,胷腹爲陰。陽爲腑,陰爲臟。心肺居於胷中,而俞在肩背,故背爲胷之腑。]
주석: 어깨와 등은 양이 되며, 가슴과 배는 음이 된다. 양은 6부가 되고 음은 5장이 된다. 심폐는 가슴 속에 거처하고 수혈이 어깨와 등에 있으므로 등은 가슴의 부가 된다.
玉機真臟論
옥기진장론
冬脈太過,則令人解㑊,脊脈痛而少氣不欲言;
겨울맥이 태과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해역병이 되게 하니 척추맥이 아프고 숨이 짧아서 말하려고 하지 않는다.
其不及則令人心懸如病飢,䏚 䏚(옆구리 묘; ⾁-총8획; *)
中清,脊中痛,少腹滿,小便變。
겨울맥이 불급하면 사람이 심장이 병이나 굶주림으로 매달린 듯하며, 옆구리가 차며, 척추가 아프며, 소복이 그득하며 소변이 변한다.
[ 註 腎爲生氣之原而主閉藏,太過則氣外泄而根本反傷,故爲懈惰少氣。]
주석 신은 생기의 근원으로 폐장을 주로 하니 태과하면 기가 밖으로 배설하여 근본이 반대로 손상하므로 게을러져 숨이 짧아진다.
[生陽之氣不足,故脊中痛。]
생양의 기가 부족하므로 척추속이 아프다.
[心主言而發原於腎,根氣傷故不欲言也.]
심은 말을 주관하고 신에서 발원하며, 뿌리의 기가 손상하므로 말하려고 하지 않는다.
[其不及則心腎水火之氣不能交濟,故令人心懸如病飢。]
불급하면 심과 신의 물과 불의 기가 교제하지 못하므로 사람으로 하여금 심장이 병이나 굶주린 듯이 매달린 듯하다.
[䏚中,脅骨之杪 杪(끝 초; ⽊-총8획; chāo,miǎo)이 원문에는 秒(초, 미묘하다 초{까끄라기 묘}; ⽲-총9획; miǎo)
,當兩腎之處,腎之生陽不足,故䏚中冷也。]
옆구리는 옆구리뼈의 끝으로 양 신의 처에 해당하니 신의 양의 생성이 부족하므로 옆구리가 시리다.
[腎合膀胱,腎虛而不能施化,故小便變而少腹滿也。]
신은 방광에 합하고 신이 허하면 베풀어 변화하지 못하니 그래서 소변이 변하고 소복이 그득하다.
春脈不及,則令人胷痛引背,下則兩脅胠滿。
봄의 맥이 이르지 않으면 사람의 가슴이 아프며 등까지 당기며 사하하면 양쪽 옆구리가 그득하다.
[ 註 春木之陽,生於腎水之陰,陰氣虛寒,以致生陽不足,故胷痛引背也。]
주석 봄 목의 양은 신수의 음에서 생기니 음기가 허한하면 양을 생성함이 부족하게 되므로 가슴이 등까지 당기며 아프다.
[脅胠,乃肝腎之部分,生氣虛而不能外達,故逆滿於中也。]
옆구리와 갈비는 간과 신의 부분이며 기를 생성함이 허하면 외부로 도달하지 못하니 속에서 상역하고 그득해진다.
[秋脈太過,則令人逆氣而背痛慍慍然。]
가을 맥이 태과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기가 상역하게 하며, 등이 아프고, 지긋지긋하다.
[ 註 肺主週身之氣,太過則反逆於外而爲背痛,肺之俞在肩背也。]
주석 폐는 온 몸의 기를 주관하니 태과하면 밖에서 반대로 거역하고 등이 아프게 되니 폐의 수혈은 어깨와 등에 있다.
臟氣法時論
장기법시론
心病者,胷中痛,脅支滿,脅下痛,膺背肩胛間痛,兩臂內痛。
심병은 가슴 속이 아프며 옆구리 끝이 그득하니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가슴과 등과 견갑 사이가 아프니 양족 팔뚝 안이 아프다.
[ 註 手少陰心脈,起心中,上挾咽,出脅下,循臑內,下肘中,循臂內後廉。]
주석: 수소음심맥은 심중에서 기시하여 위로 인두를 끼고 옆구리 아래를 나와서 팔뚝 안을 따라서 팔꿈치로 들어가서 팔의 안쪽 뒤모서리를 따른다.
[手少陽小腸脈,上手臂,循臑內,出肩解,繞肩胛。]
수소양소장맥은 위로 손과 팔을 지나 팔뚝안을 따라서 견해를 나와서 견갑을 둘러싼다.
[二經氣實,故有是痛。脅支滿者,少陰之支絡滿痛於脅下也。]
2경[심경,소장경]이 실하므로 통증이 있다. 옆구리가 그득함은 소음의 지락이 옆구리 아래에 그득함이다.
肺病者,喘欬逆氣,肩背痛,汗出,尻陰股膝髀腨胻足皆痛。
폐병은 기침하고 기가 상역하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땀이 나며, 꽁무니뼈와 음부와 넓적다리와 무릎과 비추와 장딴지와 정강이와 발이 모두 아프다.
[ 註 夫肺主氣而發原於腎,腎爲本,肺爲末,母子之經氣相通,是以足少陰之脈,其直者,從腎上貫膈,入肺中,循喉嚨,挾舌本。]
주석 폐는 기를 주관하며 신에서 발원하며 신이 근본이 되고, 폐는 지말이 되니 모자의 경기가 서로 통하므로 족소음의 경맥은 곧게는 신을 따라서 위로 횡격막을 관통하니 폐 속에 들어가 후롱을 따라서 설본을 낀다.
[病則氣逆,故喘欬也。]
병은 기가 상역하므로 숨차고 기침한다.
[肺腧在肩背,氣逆於上則肩背痛而汗出,逆於下則尻陰胻膝皆痛也。]
폐수는 어깨와 등에 있고 위에서 기가 상역하면 어깨와 등이 아프고 땀이 나며, 아래에서 역하면 미골, 음부, 정강이, 무릎이 모두 아프다.
血氣形志篇
혈기형지편
欲知背俞,先度其兩乳間中折之,更以他草度,去半已,即以兩隅相拄 拄(떠받칠, 거절하다 주; ⼿-총8획; zhǔ)
也。
배수혈을 알고자 하면 먼저 양쪽 유두 사이를 헤아려 꺽으니 다시 다른 풀로 헤아리니 반이 이미 지나면 양쪽 모퉁이를 서로 떠받친다.
乃舉以度其背,令其一隅居上,齊脊大椎,兩隅在下,當其下隅者,肺之俞也。
들어서 등을 헤아려서 한 모퉁이를 위로 있게 하고 척추의 대추를 나란히 하고 양쪽 모퉁이를 아래에 있게 하여, 아래 모퉁이가 폐의 수혈이다.
[ 註 此論取五俞之法。]
주석 이는 5수혈을 취혈하는 방법을 논의함이다.
[五臟之俞,皆在於背,背者胷之腑也,故先量其兩乳,而後定其背之俞焉。]
5장의 수혈은 모두 등에 있으니 등은 가슴의 부이므로 먼저 양쪽 유두를 헤아린 이후에 등의 수혈을 결정한다.
[以草量其乳間,中折之,更以他草度此草,去半已,使與中折之草,拄爲三隅,以一隅上齊脊之大椎,兩隅分而拄下,當其下俞之盡處,是肺俞也。]
풀로 양쪽 유두사이를 헤아려 중간을 끊어서 다시 다른 풀로 이 풀을 헤아려 반이 지나면 제거하여 중간을 끊은 풀로 세 모퉁이를 떠받치고, 한 모퉁이로 위로 척추의 대추와 나란히 하여, 양쪽 모퉁이를 나눠 아래를 떠받치니 아래 수혈이 다하는 곳이 폐수이다.
瘧論
학론
邪氣客於風府,循膂而下,衛氣一日一夜大會於風府,其明日日下一節,故其作也晏 晏(늦을, 하루해가 저물다, 맑다 안; ⽇-총10획; yàn)
,此先客於脊背也。
사기가 풍부에 침입하면 척추뼈를 따라서 내려와서 위기는 하루 낮과 하루 밤에 크게 풍부에 모이니 그 밝은 해 아래 한 마디가 만든 곳이 안이니 이는 척추와 등에 먼저 침입하는 곳이다.
[ 註 此言邪從風府而客於脊背之間者,發作有早晏也。]
주석에 이는 사기가 풍부를 따라서 척추와 등 사이를 침입함을 말함이니 발작함에 일찍과 늦음이 있다.
中於背者,氣至背而病。
등에 적중하면 기가 등에 이르면 병이 된다.
[ 註 中於背,邪即舍於背間,衛氣行至背與所舍之邪相遇,故病作。]
주석에 등에 적중하면 사기는 등 사이에 머물러서 위기가 등과 머무는 사기가 서로 만나게 되면 병이 생긴다.
舉痛論
거통론
寒氣客於背俞之脈則脈濇,脈濇則血虛,血虛則痛。
한기가 배수의 맥에 침입하면 색맥이 되고, 색맥은 혈허하며, 혈허하면 아프다.
其俞注於心,故相引而痛。
수혈이 심에 모이므로 서로 당겨서 아프다.
按之則熱氣至,熱氣至則痛止矣。
누르면 열기가 이르니 열기가 이르면 통증이 멎는다.
[ 註 背俞之脈者,足太陽之脈也。]
주석 배수의 맥은 족태양의 경맥이다.
[太陽之脈循於背,而五臟六腑之俞皆在太陽之經,故曰背俞之脈。]
태양의 경맥은 등을 따르니 5장6부의 수혈이 모두 태양경맥에 있으므로 배수의 경맥이 된다.
[臟腑之血氣皆注於俞,故寒客之,則脈濇而血虛,血虛則痛矣。]
5장6부의 혈과 기는 모두 수혈이 모이므로 한기가 침입하면 색맥이 되며 혈이 허해지며 혈이 허하면 통증이 된다.
風論
풍론
腎風之狀,脊痛不能正立。
신풍의 증상은 척추가 아파서 바로 설 수 없다.
[ 註 腎主骨,故脊痛不能正立。]
주석 신은 뼈를 주관하므로 척추가 아파서 바로 설 수 없다.
脈解篇
맥해편
太陽所謂強上引背者,陽氣大上而爭,故強上也。
태양경에 이른바 항강으로 위로 등을 당기면 양기가 크게 위로 다투니 그래서 강상이라고 한다.
[ 註 強上引背者,頭項強而引於肩背也。]
주석 강상인배는 머리와 뒷목이 뻣뻣하며 어깨와 등을 당김이다.
[太陽之脈,上額交巔,從巔別下項,挾脊抵腰中,陽氣大而爭擾於上,故使其強上也。]
태양의 경맥은 이마의 위로 머리꼭대기에서 교차하고 머리꼭대기를 따라서 따로 뒷목에 내려가서 척추를 끼고 허리에 이르니 양기가 크면 위에서 다투며 시끄러우므로 항강으로 상부로 당기게 한다.
氣府論
기부론
督脈所發,大椎以下至尻尾及旁十五穴,至骶下,凡二十一節,脊椎法也。
독맥이 발생함은 대추 이하에서 미골에서 곁에 15경혈이 있으니, 미골 아래에 이르는 21마디는 척추법이다.
[ 註 大椎以下至尻尾之長強計十三穴,及下兩旁之會陽穴,共十五穴也。]
주석 대추혈 이하로 미골의 장강혈까지 13경혈로 계산되나 아래 양쪽 곁으로 회양혈까지 모두 15경혈이다.
[大椎在項後大骨上陷中,陶道在大椎下節間,身柱在三椎下節間,神道在五椎節間,靈臺在六椎節間,至陽在七椎節間,筋縮在八椎節間,脊中在十一椎節間,懸樞在十三椎節間,命門在十四椎間,陽關在十六椎間,腰俞在二十一椎間,長強在脊骶端,會陽在陰尻骨兩旁,屬太陽膀胱經。]
대추는 뒷목의 뒤 대골의 위 움푹파인 곳이며, 도도는 대추경혈 아래 마디 사이에 있고, 신주혈은 3흉추 아래 마디 사이에 있고, 신도혈은 제5흉추 마디 사이에 있고, 영대혈은 제 6흉추사이에 있고, 지양혈은 제7흉추마디 사이에 있고, 척중혈은 제 11흉추 마디 사이에 있고, 현추혈은 제1요추[13척추] 마디 사이에 있고, 명문혈은 제 2요추[제14척추] 사이에 있고, 양관혈은 4요추[16척추] 사이에 있고, 요수혈은 21척추 마디 사이에 있으며, 장강은 척추 미골 끝에 있고, 회양은 음부 미골 양쪽 곁에 있으니 족태양방광경에 속한다.
[自大椎至骶骨凡二十一節,連項上三椎,共二十四節,或曰應二十四氣。]
대추에서 미골까지 21마디는 뒷목에서 위 3척추와 연결되어 모두 24마디가 되니 혹은 24절기에 상응한다.
標本病傳論
표본병전론
脾病,身痛體重,一日而脹,二日少腹腰脊痛脛痠,三日背䏨 䏨(크게 부은 모양 퇴{회}; ⾁-총10획; *)
筋痛、小便閉,十日不已,死。
비병은 몸이 아프고 몸이 무거우니 하루에는 창만하고, 둘째날에는 소복과 허리와 등뼈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리며, 세쨋날에는 등이 붓고 근육이 아프며, 소변이 막히고, 열흘째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다.
冬人定,夏晏食 病先發於脾,則身痛體重,一一 原作「二」,據文義改。日而之胃則脹,二日而之腎則少腹腰脊痛脛痠,三日而之膀胱則背䏨筋痛、小便閉,十日不已死。
。
겨울에는 인정에 여름에는 늦게 아침밥 먹을때 죽는다.
[ 註 원문에는 冬人定,夏晏食이 주석 뒤에 있다.
註가 원문에는 馬蒔曰로 되어 있다.
馬蒔曰:冬之人定在亥,謂土敗而水勝也;夏之晏食在寅,木旺而土絕也。]
주석에 말하길 겨울에는 인정은 해시이므로 토가 패하고 수가 이김이다. 여름에 늦은 음식은 인시이므로 목이 왕성하므로 토가 끊어진다.
腎病,少腹腰脊痛胻痠,三日背䏨筋痛、小便閉,三日腹脹,三日兩脅支痛,三日不已,死。
신병은 소복과 허리와 척추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리며, 3일에는 등이 붓고 근육이 아프며 소변을 못 보고, 3일에는 복부가 창만하고, 3일 뒤에는 양쪽 옆구리 밑이 아프고, 3일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다.
冬大晨,夏晏晡。
겨울은 새벽에 죽고 여름에는 늦은 저녁에 죽는다.
[ 註 病先發於腎,則少腹腰脊痛,三日而之膂膀胱則背䏨筋痛、小便閉,三日而之胃則腹脹,三日而之肝則兩脅支痛。]
주석에 병이 먼저 신에서 발생하면 소복부와 허리와 척추가 아프며, 3일이면 척추와 방광에 가서 등이 붓고 근육이 아프며, 소변을 못 보고, 3일이 되면 위에 가서 복부창만하며, 3일이면 간에 가서 양쪽 옆구리 밑이 아프다.
[冬之大明在辰,土旺而水滅也。]
겨울에는 큰 밝음이 진시에 있고, 토가 왕성하면 수가 소멸한다.
[夏之晏晡在亥,水絕而不能生也。]
여름철에 늦은 저녁은 해시이니 수기가 끊어지면 생성하지 못한다.
胃病,脹滿,五日少腹腰脊痛胻痠,三日背䏨筋痛、小便閉,五日身體重,六日不已,死。
위병은 창만하고, 5일이면 소복과 허리, 척추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리며, 3일이면 등이 붓고, 근육이 아프며, 소변을 못 보고, 5일이면 신체가 무겁고, 6일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다.
冬夜半後,夏日昳 昳(해가 기울, 뛰어나다 질; ⽇-총9획; dié,yì)
。
겨울에는 야반 뒤에 죽고 여름에는 해가 기울면 죽는다.
[ 註 病先發於胃,故脹滿,五日而之腎則少腹腰脊痛脛痠,三日而之䏨膀胱則背䏨筋痛、小便閉,五日而之脾則身體重,再六日不已而死。]
주석 병이 먼저 위에서 발생하므로 창만하고, 5일이면 신으로 가서 소복부와 허리와 척추가 아프고 정강이가 시큰거리며, 3일이면 방광에 가서, 등으로 가면 등이 붓고 근육이 아프며 배려와 근육이 아프며 소변이 막히고, 5일이면 비로 가서 신체가 무겁고 다시 6일에 그치지 않으면 죽습니다.
[冬夜半後者,土敗而水勝也。]
겨울은 야반 후에 죽는데 토가 패하고 수가 이기기 때문입니다.
[夏日昳者,乃陽明所主之時,土絕而不能生也。]
여름에는 해가 기울때 죽는데 양명이 주관하는 시기가 토가 끊어져서 생할 수 없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