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0 0 0 36 8 0 11년전 0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의술명류열전6 509권

고금도서집성의부전록 (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은 중국 청나라 장정석(蔣廷錫) 등의 편찬으로 1723년에 간행된 의서.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의 일부분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부터 청나라 초기의 문헌까지 의학문헌 100여 종을 분류하여 편찬한 것으로, 고전 의서에 대한 주석, 각과 질병의 변증논치(辨證論治) 및 의학과 관련 있는 예문(藝文), 기사(記事)와 의학자의 전기(傳記) 등을 포괄한다. 전 520권이며, 기초이론, 분과 치료, 논술과 처방 등 내용이 풍부하며, 서술이 체계적이고 전면적이다. 영인본이 나와 있다. 이 책의 정식 명칭은 [欽定古今圖書集成]으로 황제가 친히 명령하여 고금의 모든 도서를 모아 만들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략 康熙 연간에 陳夢雷(1651~1723) 등이 편찬하기 ..
고금도서집성의부전록 (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은 중국 청나라 장정석(蔣廷錫) 등의 편찬으로 1723년에 간행된 의서.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의 일부분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부터 청나라 초기의 문헌까지 의학문헌 100여 종을 분류하여 편찬한 것으로, 고전 의서에 대한 주석, 각과 질병의 변증논치(辨證論治) 및 의학과 관련 있는 예문(藝文), 기사(記事)와 의학자의 전기(傳記) 등을 포괄한다. 전 520권이며, 기초이론, 분과 치료, 논술과 처방 등 내용이 풍부하며, 서술이 체계적이고 전면적이다. 영인본이 나와 있다.
이 책의 정식 명칭은 [欽定古今圖書集成]으로 황제가 친히 명령하여 고금의 모든 도서를 모아 만들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략 康熙 연간에 陳夢雷(1651~1723) 등이 편찬하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가 蔣廷錫(1669~1732) 등이 이어받아 근 50년 만인 雍正4년 1726년에야 완성하였다.전서의 총 권수 1만 권, 1억6천만여자로 현존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백과전서이다. 목록만 해도 40권에다가 經史子集의 문헌 3523종이 포괄되어 있다. 역사정치, 문화예술, 과학기술, 제자백가 등 상고시대로부터 淸初까지 동양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였는데, 天文을 기록한 曆象彙篇, 지리·풍속의 方輿彙篇, 제왕·백관의 明倫彙篇, 의학·종교 등의 博物彙篇, 문학 등의 理學彙篇, 과거·음악·군사 등이 들어있는 경제휘편의 6휘편으로 크게 나뉘어 진다.



이를 다시 32典 6,109部로 세분하였고 각 부는 彙考·총론·도표·列傳·藝文·選句·紀事·雜錄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른바 ‘의부전록’은 바로 이『고금도서집성』중의 일부로 정확히는 博物彙篇 藝術典(2917~2928冊)에 들어있다. 초간본은 武英殿聚珍版 구리활자판인데 매우 희귀하며, 이 책이 조선에 들어오게 된 과정도 상당히 극적이다. 1776년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규장각을 세워 학술자료를 모으게 하고 박제가, 이덕무와 같은 능력 있는 북학파 학자들을 檢書에 등용하는 학예진흥책을 벌였다. 당시 사은부사로 북경에 갔던 徐浩修(1736~1799)는『古今圖書集成』전질을 구해오라는 특명을 받고 떠났다. 하지만 그는 이 책을 구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대단한 귀중본으로 좀처럼 구할 수 없었다. 결국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서 마침내 중개인을 앞세워 翰林院에 뇌물을 주고서야 기어코 銅活字初印本 1질을 구할 수 있었다. 정조는 너무 기뻐서 책의 장정을 새로 잘 고쳐서 창덕궁 규장각의 皆有窩에 소장케 하였다. ‘개유와’란 ‘모든 것이 다 있는 집’이라는 뜻이니 그 기상을 찬탄할 만하다.



또 규장각은 애초에 訥齋 梁誠之(1414~1482)가 세조 재위초기에 설립을 奏請한 바 있으나 실행되지 못했던 것인데 정조대에 이르러서야 이룩되었다. 『의방유취』의 교정 책임자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보건의료제도의 설비, 軍陣醫 확대를 주창하여 의서 출판과 의료정책 측면에서도 큰 족적을 남겼던 양성지의 국가도서관리제도 계획안이 실현되어 마침내 『도서집성』의 수장으로까지 이어진 것은 기막힌 인연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이용되는 流布本은 1884년 上海圖書集成局에서 간행된 것으로 오류가 많고 1890년 上海同文書局이 영인한 것에는 고증이 첨부되어 있어 비교적 정확하다고 한다. 색인으로는 일본 문부성에서 펴낸 [고금도서집성분류목록]이 있고 L. 자일스가 [An Alphabetical Index]를 대영박물관에서 간행한 바 있다. 또『古今圖書集成續錄初稿』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며, 국내에도 이들 다양한 판본과 참고서가 수장되어 있어 참조할 수 있다.실용적인 목적이 뛰어나서였는지 전서와는 별도로 의학부분은 훨씬 더 많이 인쇄되었는데, 초인본을 축쇄영인한 것이 있고 표점과 교정을 가한 연활자본 등 몇 종의 편집본이 나온 바 있으나 교감이 정확치 않고 임의로 산삭한 부분이 있어 고증이 필요하다는 것이 사계의 衆評이다. 또 이들 후대의 편집본을 펴내면서 ‘의부전록’ 혹은 ‘의부전서’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다소 적절치 않은 이름으로 원서명을 고려한다면 ‘고금도서집성醫部’가 정확한 표현이다.

예시문
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卷五百九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509권

 醫術名流列傳六
6. 의술명류열전

  金
금나라

   李慶嗣
이경사

按《金史》本傳:李慶嗣,洛人。
금사 본전을 살펴보면 이경사는 낙양 사람이다.
少舉進士不第,棄而學醫,讀《素問》諸書,洞曉其義。
젊어서 진사의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여 버리고 의학을 배워서 소문의 여러 책을 읽고 그 뜻을 통찰하고 밝혔다.
天德間,歲大疫,廣平尤甚,貧者往往闔門臥病,慶嗣携藥與米分遺之,全活者衆。
천덕간에는 그 해에 심한 역질이 있어서 광평에 더욱 심하여 가난한 사람이 왕왕 문을 닫고 와병하여 이경사가 약을 휴대하고 쌀과 함께 주니 완전히 산 사람이 많았다.
慶嗣年八十餘,無疾而終。
이경사는 나이 80세에 질병이 없이 죽었다.
所著《傷寒纂類》四卷,考證《活人書》二卷、《傷寒論》三卷、《針經》一卷,傳於世。
저술은 상한찬류 4권, 활인서 2권, 상한론 3권, 침경 1권을 고증하여 세상에 전했다.

   紀天錫
기천석

按《金史》本傳:紀天錫,字齊卿,泰安人。
금사 본전을 살펴보면 기천석은 자가 제경으로 태안 사람이다.
早棄進士業,學醫,精於其技,遂以醫名世。
일찍 진사의 업을 버리고 의학을 공부하여 의술에 정밀하여 의사로 세상에 유명하였다.
集註《難經》五卷,大定十五年,上其書,授醫學博士。
난경5권을 집주하고 대정 15년에 책을 조정에 올려서 의학박사를 받았다.

   張元素 【 張璧】
장원소 장벽

按《金史》本傳:張元素,字潔古,易州人。
금사 본전을 살펴보면 장원소는 자가 결고이며 역주사람이다.
八歲試童子舉,二十七試經義進士,犯廟諱 묘휘:임금의 죽은 후에 지은 휘(諱)
下第하제: 1, [형용사][문어] 하등(下等)의. 질이 낮은. 2, (xià//dì) [동사] (과거(科擧)의 전시(殿試)나 향시(鄕試)에서) 낙방하다. 불합격하다. 낙제하다.
,乃去學醫,無所知名。
8세에 동자과거시험에 급제하고, 27세에 경의진사시험을 봐서 임금이 죽은뒤에 지은 휘를 범하여 과거에 낙방하여 의학을 배워서 이름을 알려진 바가 없었다.
夜夢有人用大斧長鑿,鑿心開竅,納書數卷於其中,自是洞徹其術。
밤에 꿈에 사람이 큰 도끼와 긴 끌을 사용하여 마음을 뚫어 구멍을 열어서 그 안에 책 수권을 넣으니 이로부터 의술에 통철하게 되었다.
河間劉完素病傷寒八日,頭痛脈緊,嘔逆不食,不知所爲。
하간 유완소는 상한8일에 두통과 긴맥과 구역으로 먹지 못하면 그렇게 됨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元素往候,完素面壁不顧。
장원소가 살피로 가니 유완소가 벽을 면하여 돌아보지 않았다.
元素曰:何見待之卑如此哉!
장원소가 어찌 이처럼 비천하게 대접하십니까?
既爲診脈,謂之曰:脈病云云。
이미 진맥하고 말하길 맥병인 것 같습니다.
曰:然。
말하길 그렇습니다.
初服某藥用某味乎?
초기에 어떤 약을 복용하고 어떤 약미를 사용하셨습니까?
曰:然。
말하길 그렇습니다.
元素曰:子誤矣!某味性寒下降,走太陰,陽亡汗不能出。今脈如此,當服某藥則效矣。
장원소가 말하길 그대가 잘못했습니다. 약성이 차고 내려가지 않아서 태음을 달려서 양이 망하고 땀이 나지 않았습니다. 지금 맥이 이와 같으면 응당 어떤 약을 복용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完素大服,如其言遂愈。
유원소는 복종하여 그의 말대로 하니 병이 나았다.
元素自此顯名。
장원소는 이로부터 이름이 드러났다.
元素治病,不用古方,其說曰:
장원소가 병을 치료함에 고방을 사용하지 않으니 그 학설을 다음과 같다.
運氣不齊,古今異軌,古方新病,不相能也。
운기가 가지런하지 않고 예전과 지금이 궤도가 다르니 고방에 새로운 병은 서로 능하지 않다.
自爲家法云。
스스로 자기 법을 만들었다.
按《古今醫統》:張元素善知藥性氣味陰陽厚薄升沉之微,李時珍稱其《靈》、《素》而後一人,著《珍珠囊》引經佐使。
고금의통을 살펴보면 장원소는 평소 약성과 기미 음양, 후박, 승강의 미묘함을 알고, 이시진이 영추, 소문 이후에 한 사람이라고 칭하며 진주낭을 저술하여 경락에 따른 좌사약을 사용했다.
李杲師事之,盡得其學。
이고가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 학문을 다하였다.
子璧得父業,名著當時,號云岐子,有《脈訣》行世。
자식인 벽이 아버지의 의업을 얻어서 당시에 저명하니 호는 기자라고 하며 맥결을 세상에 유행케 했다.

   劉完素
유완소

按《金史》本傳:劉完素,字守真,何間人。
금사 본전을 살펴보면 유완소는 자가 수진으로 하간 사람이다.
嘗遇異人陳先生,以酒飲守真,大醉,及寤,洞達醫術,若有授之者。
기이한 사람인 진선생을 일찍이 만나서 수진을 술을 마시게 하여 크게 취하고 깨어나니 의술에 통달하여 그것을 전수받음이 있는 듯했다.
乃撰《運氣要旨論》、《精要宣明論》。
운기요지론, 정요선명론을 편찬하였다.
慮庸醫或出妄說,又著《素問元機原病式》,特舉二百八十八字,註二萬餘言。
용렬한 의사가 혹은 망령된 말을 할까 염려하고 또한 소문원기원병식을 저술하며 특히 288자를 거론하고 2만여자를 주석하였다.
然好用涼劑,以降心火益腎水爲主,自號通元處士云。
찬 약제를 잘 사용하여 심화를 내리고 신수를 더해줌을 위주로 하니 스스로 통원처사라고 호를 하였다.
【 按陳先生,查《畿輔通志》,稱陳希夷,未知是否】
진선생을 살펴보면 기보통지를 조사하면 진희이라고 칭하나 맞는지 틀린지 알지 못하겠다.

   張從正
장종정

按《金史》本傳,張從正,字子和,睢州考城人。
금사 본전을 살펴보면 자는 자화이며 휴주 고성 사람이다.
精於醫,貫穿《素》、《難》之學,其法宗劉守真,用藥多寒涼,然起疾救死多取效。
의학에 정밀하여 소문, 난경의 학문을 관통하여 유수진을 본받아 종주로 하며 한량한 약을 많이 사용하니 질병이 일어나면 죽은 사람을 구함이 많은 효과가 있었다.
古醫書有汗下吐法,亦有不當汗者汗之則死,不當下者下之則死,不當吐者吐之則死,各有經絡脈理,世傳黃帝岐伯所爲書也。
고대 의서에 발한, 사하, 토하는 방법이 있어서 또한 발한함이 부당한데 땀을 내면 죽고, 사하가 부당한데 사하하여 죽음이 있고, 토함이 부당한데 토하여 죽음이 있으니, 각각 경락과 맥의 이치가 있어서 세상에 황제 기백이 전하여 책이 되었다.
從正用之最精,號張子和汗下吐。
장종정이 사용함이 가장 정밀하니 장자화의 한토하라고 부른다.
妄庸淺術,習其方劑,不知察脈原病,往往殺人。
허망하고 용렬하고 비천한 의술로 방제를 익혀서 맥을 살피고 병을 근원함을 알지 못하여 왕왕 사라을 죽인다.
此庸醫所以失其傳之過也。
이는 용렬한 의사가 전수함을 잃은 잘못이다.
其所著有六門二法之目,存於世云。
저술은 6문2법의 조목이 있어서 세상에 존재한다.
按《河南通志》:張從正,興定中召補太醫,居無何辭去,乃與麻知幾輩,日遊㶏 㶏(강 이름 은; ⽔-총20획; *)
水之上,講明奧義,辨析元理,遂以平日聞見及嘗試效者,輯爲一書,凡十四卷,名曰《儒門事親》。
하남통지를 살펴보면 장종정은 흥정중에 태의로 불리어 보하게 되고 거함에 말이 없이 떠나며 마지기의 무리와 함께 날마다 은수의 위에서 놀아서 오묘한 뜻을 강론해 밝히며, 원리를 변별하여 분석하여 평일에 견문과 시험이 효과가 있어서 한 책으로 편집하여 14권이 되어, 유문사친이라고 명명하였다.

   竇漢卿
두한경

按《古今醫統》:竇漢卿爲金太師,善醫,妙於針。
고금의통을 살펴보면 두한경은 금나라 태사로 의학을 잘하고 침에 오묘하였다.
有死去經日者,若胷前稍溫,針之立起。
죽음이 하루가 경과하여 만약 흉부 앞에 약간 따뜻하면 자침하여 곧 일으켰다.
著有《針經指南》、《標幽賦》,誠爲古今之軌範。
저술은 침경지남, 표유부가 있으니 진실로 고대와 지금의 수레바퀴 자국과 모범이다.

   成無己
성무기

按《古今醫統》:成無己,世習儒醫,無己尤該博羣書,有敏質,祖述仲景傷寒,辨析表裏虛實,極其旨趣,著有《傷寒論明理論》凡數十卷行世。
고금의통을 살펴보면 성무기는 대대로 유의로 익혀서 무기가 더욱 여러 책에 해박하고 명민한 바탕이 있어서 장중경의 상한을 시조로 서술하고, 표리허실을 변별하고 분석하여 취지를 궁극으로 하니 상한론명리론을 저술함이 있으니 수십권이 세상에 유행한다.

   王博 【 韓熒 熒(등불, 빛나다, 밝다 형; ⽕-총14획; yíng)

왕박 한형

按《鳳陽府志》:王博、韓熒,皆醫道通神。
봉양부지를 살펴보면 왕박과 한형은 모두 의도로 신령에 통하였다.
宿州衞有百戶李昶 昶(밝을, 환할 창; ⽇-총9획; chǎng)
者,方十五六歲時,以弱疾幾不起,延二公視之。
숙주위에 백호 이창이 있어서 바로 15~16세에 약질로 거의 일어나지 못하여 2공을 이끌어 보게 하였다.
韓曰:此兒病即愈,壽且至八十餘。
한형이 말하길 이 아이의 병은 낫고 수명은 80여세에 이를 것입니다.
王再視之亦曰:壽八十四歲而終,病不日當愈。
왕박이 다시 그를 보고 또한 말하길 84세까지 장수하고 죽으니 병이 하루에 낫지는 않습니다.
人皆笑其迂。
다른 사람이 모두 그 멀게 됨을 비웃었다.
後竟病痊,至八十四歲而終。
뒤에 과연 병이 낫고 84세에 이르러서 죽었다.

   丘處機
구처기

按《西軒客談》:歷代方士皆謂有不死藥以惑時君,既而煉藥不成,或勸服藥,反速其至死者多矣。
서헌객담을 살펴보면 역대 방사가 모두 죽지 않는 사람으로 그 시대 군주를 의혹되게 하여 이미 약을 제련하나 생성하지 못하고 혹은 복약을 권유하나 반대로 빨리 죽게 됨이 많았다.
金末,道士丘處機應蒙古國主聘,問:
금나라 말기에 도사 구처기가 몽고국 군주의 초빙에 상응하여 물었다.
有好長生之藥麼?
장생하는 좋은 약이 있습니까?
對曰:有衞生之道,無長生之藥。
대답하길 생명을 보위하는 방도가 있으나 장생의 약은 없습니다.
可謂傑然不羣者矣。
호걸다우며 무리짓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元
원나라

   李元
이원

按《兗 兗(바를, 강이름 연; ⼉-총9획; yǎn)
州府志》:李元,字善長,滕人,以醫侍世祖,奏對稱旨。
연주부지에 살펴보면 이원은 자가 선장이며 승 사람으로 의사로 세조를 모시며 상주하여 대응하여 뜻이 있다고 일컬어졌다.
從比安王那木罕西征,行萬餘里,爲叛主海都所得,幽之六年,乃得脫歸,覲 覲(뵐, 겨우 근; ⾒-총18획; jìn)
世祖於行在,上問其來狀,顧左右曰:
비안왕 나목한을 따라서 서쪽에 정벌을 가니 만여리를 행진하여 군주를 배반하여 해도를 얻어서 6년동안 유폐되어 벗어나 돌아오니 세조가 행차해 있을때 뵙고 오는 모양을 물으니 좌우를 돌아보면서 말했다.
是人萬里來歸,盡忠孝於我,雖蒙古弗逮也,厚勞賜之。
만리에 돌아가니 나보다 충효를 다한 사람으로 비록 몽고가 이름이 없으니 두터운 공로로 하사하였다.
踰年,遷大中大夫都總管府達魯花赤,清而有惠,愷 愷(즐거울, 마음이 누그러지다 개; ⼼-총13획; kǎi)
悌宜民,以年老致仕,退處滕陽,年八十四而卒。
해가지나 대중대부도총관부달노화적으로 되어 청렴하며 은혜가 있어서 즐겁고 백성을 불쌍히 여겨서 나이가 노년이 되어도 벼슬기에 나아가 물러나서는 등에 거처하니 나이가 84세에 죽었다.

   麻九疇
마구주

按《古今醫統》:麻九疇,字知幾,莫州人。
고금의통을 살펴보면 마구주는 자가 지기로 막주 사람이다.
三歲識字,七歲能書,長通經史。
3세에 글자를 알고, 7세에 글을 쓰니 장성해서는 경전과 역사에 통달하였다.
因疾從子和學醫,遂盡得其妙,濟活甚多。
질병으로 장자화를 따라서 의학을 배워서 그 오묘하을 다하니 구제하고 살린 사람이 매우 많았다.

   王仲明
왕중명

按《江南通志》:王仲明,江都人,善醫。
강남통지를 살펴보면 왕중명은 강도 사람이니 의학을 잘 하였다.
平章廉希憲疾,世祖召仲明治之,未即行,人強之曰:
평장 염희헌의 질병으로 세조가 왕중명을 불러서 치료하게 하니 아직 다니지 못하니 다른 사람이 강제로 하였다.
君能起廉相,是惠及天下也。
그대가 염희헌 재상을 일으키면 은혜가 천하에 이를 것입니다.
仲明遄 遄(빠를, 빠르게 천; ⾡-총13획; zhuán)
往,投以一匕,立愈。
왕중명이 가서 한 비수를 던지니 곧 나았다.
世祖欲官之,辭不就。
세조가 관직을 삼으려고 하자 사양하여 나아가지 않았다.
강희제 ( 康熙帝 ) 때의 진몽뢰 ( 陳夢雷 ) 가 시작한 것을 옹정제 ( 雍正帝 ) 때의 장정석 ( 蔣廷錫 ) 이 이어받아 1725 년에 완성
진몽뢰 (陳夢雷)는 중국 청나라 때 사람. 자(字)는 칙하(則霞), 또는 성재(省齋)이며 복건성(福建省) 민후(閩侯) 태생. 강희(康熙) 연간에 진사가 되어 편수(編修) 등의 관직을 역임하다가 나중에 무고를 당해 하옥(下獄)되고 유배되었다. 10여 년 후에 풀려났는데, 옹정(雍正) 초년(初年)에 다시 귀양을 갔으며, 귀양지에서 죽었다. 『도서집성·의부전록(圖書集成·醫部全錄)』 등의 편수를 주재하였다.
번역자 튼살 흉터를 치료하는 하루 두끼식사 창안자 이미지한의원 www.imagediet.co.kr 02-336-7100원장 홍성민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