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 0 0 36 29 0 11년전 0

외과비록 통천오지 9권 10권 11권 12권 제3

통천오지 (洞天奧旨)서명. 중국 청나라 때 진사탁(陳士鐸)이 논술하여 1694년에 간행된 외과서. 『외과비록(外科秘錄)』이라고도 함. 전 16권. 기백천사(岐伯天師)가 전한 것이라 탁명하였기 때문에 서명을 『통천오지(洞天奧旨)』라고 하였다. 제1∼4권은 창양(瘡瘍) 병후(病候)와 진법(診法), 용약(用藥)을 통론(統論)하였고, 제5∼13권은 외과(外科), 피부과(皮膚科) 및 금인(金刃), 질타(跌打), 충수상(蟲獸傷) 등 150여 종의 병증 치법을 기술하였으며, 제14∼16권은 여러 학자의 외과 치료 방제를 추려서 기록하였다. 저자는 외과병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경락(經絡), 음양(陰陽)의 변별을 매우 중시하였는데, 내용이 풍부하고 용약에 매우 독특한 점이 있다. 예시문 洞天奧旨下 통천오지 하 卷..
통천오지 (洞天奧旨)서명. 중국 청나라 때 진사탁(陳士鐸)이 논술하여 1694년에 간행된 외과서. 『외과비록(外科秘錄)』이라고도 함. 전 16권. 기백천사(岐伯天師)가 전한 것이라 탁명하였기 때문에 서명을 『통천오지(洞天奧旨)』라고 하였다. 제1∼4권은 창양(瘡瘍) 병후(病候)와 진법(診法), 용약(用藥)을 통론(統論)하였고, 제5∼13권은 외과(外科), 피부과(皮膚科) 및 금인(金刃), 질타(跌打), 충수상(蟲獸傷) 등 150여 종의 병증 치법을 기술하였으며, 제14∼16권은 여러 학자의 외과 치료 방제를 추려서 기록하였다. 저자는 외과병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경락(經絡), 음양(陰陽)의 변별을 매우 중시하였는데, 내용이 풍부하고 용약에 매우 독특한 점이 있다.
예시문
洞天奧旨下
통천오지 하

卷九
9권
杖瘡
장창

杖瘡,受官刑而成瘡也。
장창은 관형벌을 받아서 창이 생성함이다.
氣血有餘,易於生合,氣血不足,難於化消。
기혈이 유여하면 쉽게 유합이 생기며 기혈이 부족하면 변화하고 소멸하기 어렵다.
倘受刑少者,血不凝滯,受刑多者,血必穢瘀;
혹시 형벌 받음이 적으면 혈이 응체하지 않고, 형벌 받음이 많으면 혈이 반드시 더럽고 어혈이 생긴다.
受刑輕者,氣不蕭索,受刑重者,氣必敗殘。
형벌 받음이 가벼우면 기가 쇠약하지 않고, 형벌 받음이 무거우면 기가 반드시 패잔하게 된다.
蓋刑輕刑少,忍痛而斷不叫號,刑重刑多,悲傷而自多涕泣,此氣血所以愈虧也。
형벌기 가볍고 형벌이 적으면 동통을 참고 결단코 울부짖지 않으며, 형벌이 무겁고 형벌이 많으면 슬퍼 손상되며 스스로 콧물과 눈물이 많으니 이 기혈이 그래서 더욱 휴손되게 된다.
倘受刑之先,身體原弱而不強,則惡血奔心,往往有死者。
혹시 형벌 받기 전에 신체가 원래 약하고 강하지 않으면 악혈이 심장으로 달아나서 왕왕 죽음이 있게된다.
必須活其血而補其氣,敗其毒而消其火.
반드시 혈을 활발케 하고 기를 보하며 독을 패배시키고 화를 꺼야 한다.
然後外用膏藥貼之,或末藥敷之,不至死亡也。
연후에 고약을 외용으로 붙이거나 혹은 가루약을 붙이면 사망에 이르지 않는다.

調中化湯
조중화탕
巫彭真君傳。
무팽진군이 전수했다.
內治杖瘡神效,服之無性命之優。
장창을 내치함에 귀신같은 효과가 있으니 복용하면 성품과 생명의 우려가 없게 된다.
當歸五錢,生地五錢,三七根末三錢,丹皮二錢,白芍三錢,生黃芪三錢,生甘草一錢,大黃一錢,枳殼三分,虛極者加人參三錢.
당귀 20g, 생지황 20g, 삼칠근가루 12g, 단피 8g, 백작 12g, 생황기 12g, 생감초 4g, 대황 4g, 지각 1.2g, 허증이 극심하면 인삼 12g을 가미한다.
水一碗,童便一碗,同煎服,二劑瘀血即散,外用末藥、膏藥貼之即愈。
물 1사발과 동변 1사발을 함께 달여 복용하니 2제면 어혈이 흩어지고, 가루약을 외용하면서 고약을 붙이면 낫는다.

仙花散
서화산

外治杖瘡。
장창을 외치한다.
鳳仙花葉 搗汁,馬齒莧 搗汁,黃蠟二兩,蔥白搗汁,松香二兩,五倍子爲末一兩,乳香二錢,
찧어서 즙낸 봉선화잎, 찧어서 즙낸 마치현, 황색밀랍 80g, 찧어 즙낸 총백, 송향 80g, 오배자가루 40g, 유향 8g
將鳳仙、蔥、莧先搗取汁二碗,將黃松香熬膏,入倍子末,攤膏貼之自愈。
장차 봉선화잎, 파, 마치현을 먼저 찧어 즙을 2사발을 내고 황랍과 송향을 졸여 고를 만들어 오배자가루에 넣고 깔고 고약으로 붙이면 스스로 낫는다.

禿瘡
독창
禿瘡,乃是太陽膀胱、督脈二經受濕熱,故生蟲作癢。
독창은 족태양방광, 독맥 2경락이 습열을 받으므로 벌레가 생기고 소양이 생긴다.
其實亦因父母生兒之前,不節色欲,或服熱藥浪戰,頻頻泄精,以致胎中受毒,不能即散,而小兒之首受之。
실제로는 또한 부모가 자식을 낳기 전에 색욕을 절제하지 못하거나 혹은 뜨거운 약을 쓸데없이 전쟁[성교]하여 자주 정을 사정하면 태중에 독을 받게 하여 곧 흩어지지 못하고 소아의 머리가 받게 된다.
毒輕者瘡輕,毒重者瘡重。
독이 경미하면 창이 경증이고, 독이 위중하면 창이 중증이다.
既生之後,小兒或食煎炒之味,或多餐水果,或多受暑風,而頭上禿瘡因而生蟲,痂高堆起,白屑滿盈,終年累月而不愈矣。
이미 출생한 뒤에 소아가 혹은 달이고 볶은 음식을 먹거나 혹은 많이 과일을 먹고 혹은 서풍을 많이 받으면 머리 위에 독창이 그에 원인해서 벌레가 생기고 딱지가 높게 퇴적되어 일어나니 백석이 가득 차며 죽을 때까지 낫지 않는다.
瘡輕者,外治即痊;
독창이 경미하면 외치면 완전히 낫는다.
瘡重者,必須內外兼治,庶易愈也。
독창이 중증이면 반드시 내치와 외치를 겸해야 거의 쉽게 낫는다.
世人多不急治,所以多累,竟至蟲蝕發盡,成爲禿子耳。
세상에 많이 급격하게 치료하지 못하며 많이 쌓이게 하니 마침내 벌레가 다 파먹게 하여 독자를 생성하게 된다.

蝸蜂丹
와봉단
外治禿瘡。
독창을 외치한다.
蝸牛十個,黃蜂窠二錢,生甘草一錢,白礬一錢.
달팽이 10개, 황색벌집 8g, 생감초 4g, 백반 4g
將蝸牛搗爛,塗禿遍透後,將下三味研爲細末,豬油調敷。
달팽이를 찧어 문드러지게 하여 독창에 두루 투과하게 바른 뒤에 3약미를 갈아 곱게 가루내어 돼지기름으로 섞어서 바른다.
如用熊油調搽更妙。
만약 곰기름을 사용해 섞어 바르면 더욱 오묘하다.

清首湯
청수탕
內治禿瘡。
청수탕은 독창을 내치한다.
玄參三錢,生甘草一錢,茯苓二錢,白芷一錢,山豆根五分,紫草一錢,黃柏一錢,蔓荊子一錢,白蒺藜一錢,半夏五分.
현삼 12g, 생감초 4g, 복령 8g, 백지 4g, 산두근 2g, 자초 4g, 황백 4g, 만형자 4g, 백질려 4g, 반하 2g이다.
水煎服,四劑後,以前方外治,無後患也。
물에 달여 복용하니 4제 복용 뒤에 앞 처방으로 외치하면 후환이 없게 된다.
此方以十歲爲准,年小減之。
이 처방은 10세 이상이 기준이 되니 나이가 어리면 감량한다.
魚臍瘡
어제창

魚臍瘡生於肘肚,乃手少陰心經也,此處屬少海、靈道之穴。
어제창은 주두에서 생기니 수소음심경락이니 이 곳은 소해, 영도의 경혈에 처한다.
生於小腿肚者,乃足太陽膀胱經也,此處屬承山、飛揚之穴。
소퇴두에서 생기면 족태양방광경락이니 이 곳은 승산, 비양의 경혈에 거처한다.
上下二處之瘡,其疼痛皆甚。
위 아래 2곳의 창은 동통이 매우 심하다.
初起一二日,先用灸法,最易解散。
초기 시작하는 1~2일에 먼저 뜸을 사용한 방법이 가장 쉽게 흩어지게 한다.
心經多氣少血,膀胱經多血少氣。
심경락은 많은 기와 적은 혈이 있고, 방광경은 많은 혈과 적은 기가 있다.
少血者,宜補血以消毒:
적은 혈이란 의당 혈을 보하여 독을 소멸해야 한다.
少氣者,宜補氣以消毒。
적은 기란 기를 보해서 독을 소멸해야 한다.
然氣血雙補,而佐之消毒之藥,更佐以引經之品,何瘡之不速愈乎?
기혈을 양쪽으로 보하고 독을 소멸하는 약을 보좌하면 다시 인경하는 약품으로 보좌하면 어떤 창이 빨리 낫지 않겠는가?
俗名魚臍疔,治法正同耳。
속칭 어제정이라고 하니 치료법으 바로 같을 뿐이다.

化魚湯
화어탕
巫彭真君傳。
무팽진군이 전수했다.
治魚臍瘡疔,不論肘腿俱效。
어제창정을 치료함에 팔꿈치와 하퇴를 막론하고 모두 효과가 있다.
金銀花一兩,當歸五錢,生甘草二錢,青黛二錢,地榆二錢,白礬一錢,生黃芪五錢.
금은화 40g, 당귀 20g, 생감초 8g, 청대 8g, 지유 8g, 백반 4g, 생황기 20g이다.
水煎服。
물에 달여 복용한다.

陰包毒瘡
음포독창

陰包瘡,生於腿內膝之上,乃足肝經風熱之毒也。
음포창은 대퇴 안 무릎의 위에서 생기니 족궐음간경의 풍열의 독이다.
肝本多血少氣之經,若生此瘡,必然疼痛。
간은 본래 많은 혈과 적은 기의 경락이니 만약 이 창이 생기면 반드시 아프게 된다.
治法必須補氣以解風熱,則已潰未潰,尤易散也。
치료법은 반드시 기를 보하여 풍열을 푸니 이미 터지고 아직 터지기 전이고 더욱 쉽게 흩어진다.
外用膏藥貼之,更效如神。
고약을 외용으로 붙이면 더욱 귀신같은 효과가 있다.

黃芪散陰湯
황기산음탕
治腿內外股瘡毒疽癤。
넓적다리 안팍의 고창독저절을 치료한다.
生黃芪五錢,柴胡一錢五分,白芍五錢,炒梔子一錢五分,大力子 牛蒡子의 이명
一錢,甘草二錢,連翹一錢,金銀花一兩,肉桂三分,薏苡仁五錢,半夏一錢,水煎服。
생황기 20g, 시호 6g, 백작약 20g, 볶은 치자 6g, 대력자[우방자] 4g, 감초 8g, 연교 4g, 금은화 40g, 육계 0.8g, 의이인 20g, 반하 4g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燕窩瘡、羊胡瘡
연와창 양호창

燕窩瘡生於腦後項之窩,乃足太陽兼督脈之經也。
연와창은 두뇌뒤 뒷목의 움푹들어간 곳이니 족태양경과 독맥의 경락을 겸한다.
羊胡瘡生於下唇下巴骨之處,乃任脈之經承漿地閣穴道也。
양호창은 아래 입술아래와 파골의 곳에서 생기니 임맥경락의 승장, 지각의 경혈도이다.
兩處生瘡,多是感犯濕氣,濕入則熱,熱久則毒難化矣。
양쪽에 창이 생기면 습기에 많이 감촉됨이니 습이 들어가면 열이 되고, 열이 오래되면 독이 변화하기 어렵다.
於是氣血不通,濕熱不散,而瘡有經月不愈者,在小兒尤多。
이에 기혈이 소통하지 못하고 습열이 흩어지지 않으면 창은 달을 지나도 낫지 않게 되니 소아에 더욱 많다.
倘內服除濕清熱之味,以消太陽、任督之毒,外用藥摻之或搽之,則瘡即結靨而愈矣。
혹시 습을 제거하고 열을 끄는 약미를 복용하고 태양경, 임맥, 독맥의 독을 소멸하며 외용약을 뿌리거나 혹은 바르면 창이 곰보를 결성하여 낫게 된다.

除濕清熱散
제습청열산
家傳。
집안에서 전수되었다.
內治燕窩瘡、羊胡瘡神妙。
연와창, 양호창을 내치하는데 귀신같이 오묘하다.
茯苓二錢,炙甘草一錢,白朮一錢,白芷五分,蒲公英二錢,澤瀉一錢,豬苓一錢,蒼朮一錢,羌活五分,天花粉一錢五分,水煎服。
복령 8g, 구운 감초 4g, 백출 4g, 백지 2g, 포공영 8g, 택사 4g, 저령 4g, 창출 4g, 강활 2g, 천화분 6g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神異丹
신이단
巫真君傳。
무진군이 전수했다.
外治燕窩瘡、羊胡瘡最妙。
연와창, 양호창을 외치하는데 가장 오묘하다.

輕粉一錢,兒茶三錢,黃丹二錢,炒黃柏三錢,枯礬五分,冰片三分.
경분 4g, 아다 12g, 황단 8g, 볶은 황백 12g, 고백반 2g, 빙편 1.2g이다.
各爲末,濕則乾摻,乾則用麻油調敷,數日即愈。
각각 가루내어 습하면 건조하게 잡고, 건조하면 마유를 사용하여 섞어 붙이면 수일이면 낫는다.

胎毒瘡、戀眉瘡
태독창, 연미창

瘡生於頭上、眉上,終年終月而不愈,皆受母胎之毒也。
머리 위와 눈썹 위에서 창이 생기면 해가 지나고 달이 지나도 낫지 않으니 모두 모태의 독을 받음이다.
似與禿瘡相同,然而禿瘡止生於頭,而不生於眉也。
독창과 유사하여 서로 같으나 독창은 다만 머리에서 생기고 눈썹에서는 생기지 않는다.
今頭與眉俱生,尤胎毒之重者也。
지금 머리와 눈썹에서 모두 생기니 더욱 태독이 중증이다.
故禿瘡可以外治,而戀眉之瘡必須內外兼治。
그래서 독창은 외치할 수 있고 눈썹의 창까지 이어지면 반드시 내치와 외치를 겸해야 한다.
倘瘡止生頭上,用清首湯妙矣。
혹시 창이 다만 머리위에서 생기면 청수탕을 사용함이 오묘하다.
或兒畏湯劑,不肯吞服,亦可止用蝸蜂丹外治,無不愈者。
혹시 아기가 탕제를 두려워하여 탄복함을 긍정하지 않으면 또한 다만 와봉단을 사용하여 외치하면 낫지 않음이 없다.
若頭眉俱生,必須先服清首湯,另用釋眉丹外搽,不至淹纏歲月也。
만약 머리와 눈썹에서 모두 생기면 반드시 청수탕을 먼저 복용하고, 따로 석미단을 사용하여 외부로 바르니 세월을 끌지 않게 된다.

清首湯
청수탕
治胎毒瘡。
태독창을 치료한다.
載禿瘡門。
독창문에 기재되어 있다.

釋眉丹
석미단
治戀眉瘡。
눈썹까지 연결된 창을 치료한다.
黃連五分,油調塗碗內,艾煙熏過,入:
황련 2g을 기름으로 섞어서 사발 안을 바르며 쑥연기로 훈증을 경과하여 넣는다.
皂礬一分,爲末,輕粉一分,末。
조백반 0.4g을 가루내고, 경분 0.4g을 가루낸다.
冰片半分,末。
빙편 0.2g을 가루낸다.
麻油少許再調塗之,數次全愈。
마유로 조금 다시 섞어 바르길 수차례 하면 완전히 낫는다.
或用膠髓膏,亦神效。
혹은 교수고를 사용하면 또한 귀신같은 효과가 있다.
載在奇驗方門。
기재는 기험방문에 있다.

肺風瘡、齇鼻瘡
폐풍창, 사비창

肺風、齇鼻瘡,生鼻面之間,乃肺經之病也。
풍창, 사비창은 코의 사이에서 생기니 폐경락의 병이다.
夫肺開竅於鼻,肺氣不清,而鼻乃受害矣,鼻既受害,遂沿及於面。
폐는 코에 구멍을 여니 폐기가 맑지 않으면 코가 피해를 받으며 코가 이미 해를 받으면 얼굴에 연결된다.
世人不知肺經有病,或冷水洗面,使熱血凝滯,因結於面而生瘡矣。
세상 사람이 폐경에 병이 있음을 알지 못하고 혹은 냉수로 세면하고, 열혈이 응체하게 하면 얼굴에서 결체함에 기인하여 창이 생긴다.
治之法必須清肺氣,而兼消其風,活肺血而再祛其火.
치료법은 반드시 폐기를 맑게 하고 풍사를 소멸케 하면서 폐혈을 활발케 하면서 다시 화를 제거한다.
然後用搽藥外治,未有不速痊者也。
연후에 바르는 약을 사용하여 외치하니 빨리 완전히 낫지 않음이 없다.

加味甘梢湯
가미감초탕
治肺風齇鼻瘡。
폐풍창, 주사비창을 치료한다.
桔梗三錢,甘草一錢,甘菊二錢,青黛二錢,茯苓三錢,白附子八分,天花粉二錢,白芷五分.
길경 12g, 감초 4g, 감국 8g, 청대 8g, 복령 12g, 백부자 3.2g, 천화분 8g, 백지 2g이다.
水煎服。
물에 달여 복용한다.

杏黃散,載後。
행황산은 뒤에 기재되어 있다.

粉花瘡、裙邊瘡
분화창, 군변창

粉花瘡生於人面,窠瘻生癢,乃肺受風熱也。
분화창은 사람 얼굴에 생기며 구멍이 부스럼에 소양이 생기며 폐가 풍열을 받음이다.
此瘡婦女居多,蓋絞面 絞面 注:又稱絞臉,婦人的一種整容術,即用細線拔去臉上的毛
感冒寒風,以致血熱不活,遂生粉刺,濕熱兩停也。
이 창은 부녀에 대부분 많으니 교면에 풍한을 감모하여 혈열이 활발하지 않아서 분자가 생기니 습열이 양쪽에 정체함이다.
裙邊瘡者,亦婦女生於內外足踝之骨,或裙短而不能遮風.
군변창은 또한 부녀의 내외 족과골에서 생기거나 혹은 치마가 짧아서 바람을 가리지 못해서 생긴다.
又不慎房帷,乃致足寒,而濕熱不行,凝滯而生瘡也。
군변창은 또한 성교를 삼가지 않고 발이 차게 되어 습열이 운행치 못하고 응체하여 창이 생긴다.
粉花瘡輕於裙邊,以上濕易散,上熱易化,而下之濕熱未易消也。
분화창은 군변창보다 가벼우나 위의 습은 쉽게 발산하고 위의 열은 쉽게 변화하나 아래의 습열은 쉽게 소멸하지 못한다.
故粉花瘡止消外治,裙邊瘡必兼內治始妙也。
그래서 분화창은 다만 외치로 소멸하고, 군변창은 반드시 내치와 외치를 겸하여 비로소 오묘하다.
二粉散,載後。
이분산은 뒤에 기재되었다.
大風膏,載後。
대풍고는 뒤에 기재되었다.

五色湯
오색탕
巫彭真君傳。
무팽진군이 전수했다.
內治裙邊瘡。
군변창을 내치한다.
茯苓三錢,薏苡仁三錢,黃柏一錢,黃芪三錢,荊芥一錢,紅花一錢,烏桕根三錢,白礬一錢.
복령 12g, 의이인 12g, 황백 4g, 황기 12g, 형개 4g, 홍화 4g, 오구근 12g, 백반 4g이다.
水煎服,服數劑,外用大風膏調搽自愈。
물에 달여 복용하니 몇 제를 복용하며 대풍고를 외용하여 섞어 바르면 스스로 낫는다.
진사탁 (陳士鐸)은 17세기 중국 청나라 때 의학자. 호는 원공(遠公), 별호는 주화자(朱華子)이며 절강성(浙江省) 산음(山陰) 사람. 어릴 때 집안이 가난한 가운데 사서(史書)를 공부하다가 장성하여 의학을 공부하였다.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의 저명한 문인이며 의학자인 부청주(傅靑主)의 저서 『석실비록(石室秘錄)』, 『통천오지(洞天奧旨)』, 『변증록(辨證錄)』을 전수받아 이들 서적을 정리하여 책으로 간행하였다.
번역자 :관상가 번역가인 한의사 홍성민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