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2 0 0 52 117 0 11년전 0

태평광기 1권 2권 3권 1

태평광기 [ 太平廣記 ] 의 저자는 이방 등(李昉)이며 977년(송 태평흥국 2)이다. 송(宋) 태평흥국(太平興國) 2년(977) 이방(李昉) 등 12명이 왕명을 받아 엮은 설화집 500권. 앞에 이방의 진표(進表) · 인용 서목 및 목록이 있다. 내용은 한(漢) · 진(晋) · 당(唐) · 오대(五代)에 걸쳐 1,200여년 간의 소설가의 이야기들을 모은 것인데, 대부분 진 · 당 시대의 전기소설적(傳奇小說的) 내용이다. 약 2,000편의 설화 · 패설(稗說) 등이 수록되어 있어 시대에 따른 문학사상의 변천을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용서목만 해도 344종에 이르고 있어, 원서가 이미 없어진 것도 <태평광기>에 의하여 원면모의 일부나마 짐작할 수도 있다. 예시문 夫人乃下席起立,手執八色玉్..
태평광기 [ 太平廣記 ] 의 저자는 이방 등(李昉)이며 977년(송 태평흥국 2)이다.
송(宋) 태평흥국(太平興國) 2년(977) 이방(李昉) 등 12명이 왕명을 받아 엮은 설화집 500권. 앞에 이방의 진표(進表) · 인용 서목 및 목록이 있다. 내용은 한(漢) · 진(晋) · 당(唐) · 오대(五代)에 걸쳐 1,200여년 간의 소설가의 이야기들을 모은 것인데, 대부분 진 · 당 시대의 전기소설적(傳奇小說的) 내용이다. 약 2,000편의 설화 · 패설(稗說) 등이 수록되어 있어 시대에 따른 문학사상의 변천을 엿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용서목만 해도 344종에 이르고 있어, 원서가 이미 없어진 것도 <태평광기>에 의하여 원면모의 일부나마 짐작할 수도 있다.

예시문
夫人乃下席起立,手執八色玉笈鳳文之蘊,仰帝而祝曰:
부인이 좌석에서 내려와 기립하여 손으로 팔색의 옥급과 봉황무늬의 서함을 들고 천제를 우러르며 기원했다.
「九天浩洞,太上耀靈。
9천은 크고 통찰하고 태상은 빛나고 신령하네.
神照玄寂,清虛朗明。
신이 비추어 거멓고 적멸하니 맑고 텅비며 밝다.
登虛者妙,守氣者生。
허에 오름이 오묘하니 기를 지킴이 살게 된다.
至念道臻,寂感真誠。
지극한 생각으로 도가 이르며 적멸한 느낌이 진짜 성실이네.
役神形辱,安精年榮。
신을 부리고 형체가 욕되며 정을 편안케 하면 해해토록 번영하네.
授徹靈飛,及此六丁。
무제에게 영비와 이 육정을 주노라.
左右招神,天光策精。
좌우에 신을 부르고 대낮에도 정을 부린다.
可以步虛,可以隱形。
허공을 걸을 수 있고 몸을 숨길 수 있네.
長生久視,還白留青。
오래 살고 오래 보니 백색 머리털이 청색이 되네.
我傳有四萬之紀,授徹傳在四十之齡。
내가 4만년에 전수함이 있으니 무제에게 사십년만에 전수하네.
違犯泄漏,禍必族傾。
누설하고 위반하면 화가 반드시 씨족을 기울게 하리라.
反是天真,必沉幽冥。
이 천진에 반대하면 반드시 어둠에 잠길 것이다.
爾其慎禍,敢告劉生。
너는 화를 삼가며 감히 유생[무제]에게 고하노라.
爾師主是真青童小君,太上中黃道君之師真 明鈔本「師真」作「司直」
,元始十天王入室弟子也。
너희 스승주인은 진짜 청색 동자 소군이니 태상중황도군의 스승이며 원시십천왕의 입실제자이다.
姓延陵名陽,字庇華,形有嬰孩之貌,故仙宮以青真小童爲號。
성은 연릉 이름은 양이며 자는 비화이며 형체는 아이의 모습이 있으므로 선궁에서 청진소동이라고 호칭하였다.
其爲器也,玉朗洞照。
그릇이 됨은 옥처럼 밝고 투명하게 비춥니다.
聖周萬變,玄鏡幽覽。
성스러움은 모든 변화에 두루 현묘함은 그윽함을 비춥니다.
才爲真俊,游於扶廣。
재주는 진짜 준걸이며 부광에 노닙니다.
權此始運,館于玄圃。
이 시작 운을 권한을 잡고 현포(서왕모의 거처)에서 머무릅니다.
治仙職分,子在師居,從爾所願。
신선의 직분을 다스리니 그대가 스승으로 거처하니 너의 소원을 따를 것입니다.
不存所授,命必傾淪!」
받음에 존재하지 않으니 생명이 반드시 기울어짐과 혼돈에 있을 것이다.
言畢,夫人一一手指所施用節度,以示帝焉。
말을 마치고 부인이 일일이 손가락으로 절도 사용을 마치며 황제에게 지시하였다.
凡十二事都畢,又告帝曰:
12가지 일을 모두 마치며 또한 황제에게 고하였다.
「夫五帝者,方面之天精,六甲六位之通靈,佩而尊之,可致長生。此書上帝封於玄景之臺,子其寶祕焉。」
오제는 하늘 방면의 하늘의 정이며, 6갑6위의 통한 신령이며 차고 존경하면 장생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황제가 현경의 대에 봉해질 때 아들이 보배로 감춘 것입니다.
王母曰:「此三天太上之所撰,藏於紫陵之臺,隱以靈壇之房,封以華琳之函,韞 韞(감출 온; ⾱-총19획; yun,yun,wēn)
以蘭繭之帛,約以紫羅之素,印以太帝之璽。受之者,四十年傳一人;
서왕모가 말하길 이는 3천태상이 편찬하며 자릉의 대에 감추며, 영단의 방에 숨기며, 화림의 함에 봉해지며 난견의 비단에 감추며, 자주색 비단소에 싸며 태제의 옥새에 인을 만듭니다. 받는 사람은 40년에 한 사람입니다.
無其人,八十年可頓授二人。
사람이 아니면 80년도 두 사람도 받을 수 있습니다.
得道者四百年一傳,得仙者四千年一傳。
도를 얻은 사람이 4백년에 한번 전하며 선을 얻은 사람은 4천년에 한번 전합니다.
得真者四萬年一傳,昇太上者四十萬年一傳。
진짜를 얻으면 4만년에 한번 전하며 태상에 올라가면 4십만년에 한번 전합니다.
非其人謂之泄天道;
사람이 아니면 그것을 천도를 누설한다고 합니다.
得其人不傳,是謂蔽天寶;
사람이 전할 수 없으면 하늘 보배를 가린다고 말합니다.
非限妄傳,是謂輕天老;
한계 없이 망령되이 전하면 천로를 경시한다고 말합니다.
受而不敬,是謂慢天藻。
받아서 공경하지 않으면 천조를 태만하게 여긴다고 합니다.
泄、蔽、輕、慢四者,取死之刀斧,延禍之車乘也。
누설, 가림, 경시, 태만 4가지는 죽을 수 있는 칼과 도끼를 취하며 화를 당기는 수레입니다.
泄者身死於道路,受上刑而骸裂;
누설하면 몸이 도로에서 죽고 최상 형벌을 받아서 해골이 부서집니다.
蔽者盲聾於來世,命凋枉而卒歿;
가리는 사람은 내세에 시각과 청각 장애인이 되며 시들고 굽어서 갑자기 죽게 됩니다.
輕者鍾禍於父母,詣玄都而考罰;
경시하면 부모에 화가 종이 치며 현도에 이르러서 벌을 고찰합니다.
慢則暴終而墮惡道,棄疾於後世。
태만하면 갑자기 죽고 악도에 떨어지며 후세에 질병으로 버려집니다.
此皆道之科禁,故以相戒,不可不慎也。」
이는 모두 도의 과다한 금지이니 그래서 서로 경계하니 삼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王母因授以《五嶽真形圖》,帝拜受俱畢。
서왕모가 그래서 오악진형도를 주니 황제가 절하여 받아서 모두 마쳤습니다.
夫人自彈雲林之璈 璈(악기 이름 오; ⽟-총15획; ao)
,歌步玄之曲。
부인은 스스로 운림의 오를 튕기며 보현의 곡을 노래합니다.
王母命侍女田 「田」原作「曰」,據明鈔本、陳校本改
四非,答哥。
서왕모는 시녀 전사비에게 답가를 하게 했다.
歌畢,乃告帝從者姓名,及冠帶執佩物名,所以得知而紀焉。
노래가 끝나자 무제에게 시종의 성명과 곤대와 패물이름을 고하게 하여 알고 기록하게 하였다.
至明旦,王母與上元夫人同乘而去,人馬龍虎,導從音樂如初,而時雲彩鬱勃,盡爲香氣,極望西南,良久乃絕。
새벽이 밝자 서왕모는 상원부인과 함께 타고 가니 사람과 말과 용과 호랑이가 음악을 처음처럼 인도하여 때가 구름 채색이 빽빽하며 모두 향기가 있으며 지극히 서남쪽을 바라보길 한참뒤에 끊어졌다.
帝既見王母及上元夫人,乃信天下有神仙之事。
황제는 이미 서왕모와 상원부인을 보니 천하에 신선의 일이 있음을 믿게 되었다.
其後帝以王母所授《五真圖》、《靈光經》,及上元夫人所授《六甲靈飛》十二事,自撰集爲一卷,及諸經圖,皆奉以黃金之箱,封以白玉之函,以珊瑚爲軸,紫錦爲囊,安著柏梁臺上。
그 뒤에 무제는 서왕모가 준 오진도, 영광경과 상원부인이 준 육갑비령 12일을 스스로 편집하여 한 권을 만들고 제경도를 모두 황금의 상자에 받들고 백옥의 함에 봉하며 산호를 축으로 삼고 자주색 비단을 주머니로 하여 동백들보 대 위에 놓았다.
數自齋潔朝拜,燒香灑掃,然後乃執省焉。
몇 번 스스로 재계하여 깨끗이 하여 아침에 절하며 향을 사르고 물뿌리고 청소한 연후에 잡고 살펴보았다.
帝自受法,出入六年,意旨清暢,高韻自許,爲神真見降,必當度世。
무제가 법을 받은 이래로 6년간을 출입하니 뜻이 맑고 화창하며 높은 운이 스스로 허해지니 신과 진짜가 내림을 보니 반드시 세상을 제도될 것이라고 여겼다.
恃此不修至德,更興起臺館,勞弊萬民,坑降殺服,遠征夷秋,路盈怒歎,流血膏城,每事不從。
이 닦지 않는 지극한 덕을 믿고 다시 대관을 흥기케 하며 만민을 수고롭고 피폐케 하여 항복한 사람을 묻고 복종한 사람을 죽이며 멀리 동이와 북적을 원정하며 길에 원한과 한탄이 가득하며 흐르는 피와 기름진 성이 매사가 따르지 않았다.
至太初元年,十一月乙酉,天火燒柏梁臺,《真形圖》、《靈飛經》、錄十二事《靈光經》,及自撰所受,凡十四卷,幷函並失。
태초 원년 11월 을유일에 하늘에서 불로 백량대를 태우니 진형도, 영비경, 12일을 기록한 영광경과 스스로 받음을 편찬한 14권과 함이 모두 소실되었다.
王母當知武帝既不從訓,故火災耳。
서왕모가 무제가 이미 교훈을 따르지 않음을 알고 그래서 불로 화재를 했을 뿐이다.
其後東方朔一旦乘龍飛去。
뒤에 동박삭이 하루 새벽에 용을 타고 날라 갔다.
同時衆人,見從西北上冉冉,仰望良久,大霧覆之,不知所適。
동시대의 여러 사람이 서북쪽에서부터 위로 화목하며 바라서 한참 보니 큰 안개가 덮으니 간 곳을 알지 못했다.
至元狩二年二月,帝病,行盩厔 盩(칠 주; ⽫-총17획; zhū)
厔(막을 질; ⼚-총8획; zhi)
西,憩五柞宮。
지원수 2년 2월에 황제가 병이 들어서 주질의 서쪽으로 행차하여 오작궁에서 쉬었다.
丁卯,帝崩,入殯未央宮前殿;
정묘년에 황제가 붕어하며 미앙궁 앞 전에 장례지냈다.
三月,葬茂陵。
3월에 무릉에 장례지냈다.
是夕,帝棺自動,而有聲聞宮外,如此數遍,又有芳香異常。
이 저녁에 황제의 관이 스스로 움직이며 궁밖에 소문이 들리니 이처럼 몇 번 하고 또한 방향이 이상하였다.
陵畢,墳埏 埏(땅 끝, 무덤속으로 통하는 길 연; ⼟-총10획; yan,shān)
間大霧,門柱壞,霧經一月許日。
능을 마치고 무덤이 사이에 큰 안개가 끼며 문 기둥이 붕괴하며 안개가 한달정도를 경유하였다.
帝塚中先有一玉箱,一玉杖,此是西胡康渠王所獻,帝甚愛之,故入梓宮中。
황제 무덤중에 먼저 한 옥 상자와 한 옥 지팡이가 있으니 이는 서호강거왕이 바친 것이니 황제가 매우 아끼므로 재궁속에 들어갔다.
其後四年,有人於扶風市中買得此二物。
4년 뒤에 사람이 부풍시에 이 두 물건을 팔러 왔다.
帝時左右侍人,有識此物,是先帝所珍玩者,因認以告。
무제시대의 좌우에 모시는 신하가 이 물건을 알아보고 선제가 진귀하게 좋아하니 그래서 이를 고하였다.
有司詰之,買者乃商人也,從關外來,宿鄽 鄽(가게 전; ⾢-총18획; chan)
市。
관리가 힐문하니 파는 사람은 상인으로 관문밖에서 오니 상점시에서 잠을 잤다.
其日,見一人於北車巷中,賣此二物,青布三十疋 疋(필 필{발 소}; ⽦-총5획; pǐ,yǎ,shū)
,錢九萬,即售交 原作「之」,據明鈔本、陳校本改
度,實不知賣箱杖主姓名,事實如此。
하룻날에 한 사람이 북거항속에서 보고 이 두 물건을 파니 청색 베 30필, 돈 9만으로 사서 헤아리니 실제로 판 상자와 지팡이 주인의 성명을 알지 못하니 이처럼 사실이었다.
有司以聞,商人放還,詔以二物付太廟。
관리가 물어서 상인을 추방하며 조서로 두 물건을 태묘에 붙여 두었다.
又帝崩時,遺詔以雜經三十餘卷,常讀玩之,使隨身斂。
또 무제가 붕어할 때 조서를 잡경 30여권을 남기니 항상 읽어 즐기니 몸을 따라서 염하였다.
到元 「元」原誤「建」,據《緯略引》校改
康二年,河東功曹李友,入上黨抱犢山採藥,於巖室中得此經,盛以金箱,卷後題東觀臣姓名,記月日,武帝時也。
원강 2년에 이르러 하동공조 이우가 상당이 포독산에 들어가 약을 캐어서 바위 집중에서 이 경전을 얻어서 금상자에 담고 권뒤에 동관신의 성명 제가 있고 달과 일이 무제시대로 기록되었다.
河東太守張純,以經箱奏進。
하동태수 장순이 경전과 상자를 상주하였다.
帝問武帝時左右侍臣,有典書中郎冉登,見經及箱,流涕對曰:
황제가 무제시대 좌우 모시는 신하를 묻고 전서중랑 염등이 있어서 경전과 상자를 보여주니 눈물을 흘리면서 대답하였다.
「此孝武皇帝殯殮時物也,臣當時以著梓宮中,不知何緣得出?」
이는 효무황제가 염할때의 물건이며 신은 당시에 재궁에 붙여 두었는데 어떤 연유로 나왔는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宣帝大愴 愴(슬퍼할 창; ⼼-총13획; chuang)
然驚愕,以經付孝武帝廟中。
선제는 크게 놀라워서 경전을 효무제의 사당속에 붙여 두었다.
按《九都龍真經》云:得仙之下者,皆先死,過太陰中鍊尸骸,度地戶,然後乃得尸解去耳。
구도용진경을 살펴보고 말하길 신선을 얻음은 모두 먼저 죽으니 태음중에 제련한 시해를 지나서 지호를 지나니 연후에 시해를 얻어서 떠날 뿐이었다.
且先斂經杖,乃忽顯出,貨於市中,經見山室,自非神變幽妙,孰能如此者乎?
먼저 경전과 지팡이를 염하며 갑자기 나타나니 시장속에 재화가 되며 경전은 산방에서 나타나니 스스로 신의 변화와 그윽하고 오묘함이 없는데 누가 이처럼 되겠는가?
出《漢武內傳》
이방 [李昉]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 명신(名臣)으로 자(字)는 명원(明遠). 성품이 온화하고 도타웠으며, 인재를 공평하게 채용하였다고 함. 태종의 명으로 ≪태평어람(太平御覽)≫을 찬(撰)하였음
번역자는 흉터 튼살 치료하는 이미지한의원www.imagediet.co.kr 원장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