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튼살흉터치료 후산한의원
U
튼살흉터치료 후산한의원
분류
전체보기
서유기
삼국연의
서한연의
수당연의
송사통속연의
한의학
당사통속연의
의부전록
관상사주
열국지
태평광기
봉신연의
동한연의
서유기
당사통속연의
속자치통감
불교
오대사통속연의
중국고전
중국역사
한국역사
인문학
본초학
튼살흉터치료 이미지한의원책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412
0
0
43
23
0
4년전
0
한의학 상한론 금궤요략 본초학 황원어 장사약해
EPUB
스트리밍
0.5 MB
생명.의학
황원어 번역 홍성민
유페이퍼
모두
한의학 상한론 금궤요략 본초학 황원어 장사약해 《四庫全書總目提要ㆍ醫家類》 欽定四庫全書總目 卷一百五 > 子部十五 > 醫家類存目 > 《長沙藥解》四卷 "청조 황원어(黃元御, 1705∼1758) 찬. 장기(張機, 150?∼219?)의 《상한론(傷寒論)》에는 총 113가지의 처방이 있고,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에는 총 175가지의 처방이 있어, 두 책에서 사용한 약물을 합하면 총 160종이다. 황원어는 이 두 책에 수록된 처방을 각각 해체하여 재편했는데, 약의 이름과 약성(藥性)을 강(綱)으로 삼고, 어떤 처방에는 이런 약을 사용한다는 설명을 목(目)으로 삼았다. 각각 병의 원인을 미루어 짐작하여 주요한 치료법을 증명하려는 의도인데, 꽤나 상세하다. 그러나 약에는 약 자체의 성질과 맛이 있으니, 이것은 바뀌지..
미리보기
9,900
원 구매
8,900
원 365일대여
목차
150
소개
저자
댓글
0
판권 페이지
장사약해 자서
후서 後序
1권 감초甘草
백출白朮
인삼人參
대추 大棗
교이 膠飴
갱미 멥쌀粳米
의이인 율무薏苡
소맥 밀 小麥
대맥 보리 大麥
신국 神麯
오수유 吳茱萸
촉초 蜀椒
건강 乾薑
생강 生薑
반하 半夏
대자석 代赭石
후박 厚朴
지실 枳實
치자 梔子
향시 香豉
과체 瓜蒂
촉칠 蜀漆
여로 黎蘆
승마 升麻
갈근 葛根
적석지 赤石脂
우여량 禹餘糧
계자황 계란노른자 雞子黃
마자인 麻仁
백밀 꿀 白蜜
대황 大黃
파두 巴豆
2권 당귀 當歸
아교 阿膠
지황 地黃
작약 芍藥
방풍 防風
시호 柴胡
황금 黃芩
황백 黃柏
백두옹 白頭翁
진피 秦皮
백렴 白蘞
대두황권 콩나물 豆黃卷
고삼 苦參
생저백피 生梓白皮
감리근백피 甘李根白皮
낭아 狼牙
저담즙 豬膽汁
오매 烏梅
산조인 棗仁
산수유 山茱萸
애엽 쑥 艾葉
조중황토 竈中黃土
신강 新絳
마통 馬通
왕불류행 王不留行
계지 桂枝
양육 양고기 羊肉
황주 黃酒
고주 苦酒
천궁 궁궁 芎藭
목단피 牡丹皮
도인 桃仁
토과근 土瓜根
삭조 蒴藋
건칠 乾漆
홍람화 紅藍花
패장근 敗醬
별갑 鱉甲
자위 紫葳
자충 蟅蟲
강랑 蜣螂
서부 쥐며느리 鼠婦
봉소 벌집 蜂窠
맹충 등에 虻蟲
수질 거머리 水蛭
제조 굼벵이 蠐螬
지주 거미 蜘蛛
웅황 雄黃
연단 鉛丹
연분 鉛粉
3권 황기 黃耆
서여 마 薯蕷
오미자 五味子
가려륵 訶黎勒
백전 白前
세신 細辛
야간 사간射干
자완 紫菀
관동화 款冬花
행인 杏仁
해백 薤白
길경 도라지 桔梗
귤피 橘皮
조협 皂莢
백주 白酒
총백 蔥白
마황 麻黃
소엽 蘇葉
과루근 栝蔞根
과루실 栝蔞實
맥문동 麥冬
천문동 天冬
죽엽 竹葉
죽여 竹茹
위유 萎蕤
백합 百合
패모 貝母
백미 白薇
자삼 紫參
백엽 柏葉
백실 柏實
계자백 계란흰자 雞子白
저부 돼지껍질 猪膚
과자 참외씨 瓜子
지모 知母
석고 石膏
상근백피 桑根白皮
선복화 旋覆花
4권 복령 茯苓
저령 猪苓
택사 澤瀉
규자 葵子
구맥 瞿麥
포회 부들재 蒲灰
통초 通草
석위 石韋
인진호 茵陳蒿
연교 連翹
택칠 澤漆
赤小豆
방기 防己
해조 海藻
상륙근 商陸根
정력 葶藶
완화 芫花
감수 甘遂
대극 大戟
활석 滑石
융염 戎鹽
초석 硝石
망초 芒硝
적초 赤硝
반석 礬石
운모, 백어, 문합, 계시백, 저고, 난발, 인뇨, 곤당회, 황련, 주사, 모려
용골, 부자, 오두,사상자
한의학 상한론 금궤요략 본초학 황원어 장사약해
《四庫全書總目提要ㆍ醫家類》 欽定四庫全書總目 卷一百五 > 子部十五 > 醫家類存目 > 《長沙藥解》四卷
"청조 황원어(黃元御, 1705∼1758) 찬. 장기(張機, 150?∼219?)의 《상한론(傷寒論)》에는 총 113가지의 처방이 있고,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에는 총 175가지의 처방이 있어, 두 책에서 사용한 약물을 합하면 총 160종이다. 황원어는 이 두 책에 수록된 처방을 각각 해체하여 재편했는데, 약의 이름과 약성(藥性)을 강(綱)으로 삼고, 어떤 처방에는 이런 약을 사용한다는 설명을 목(目)으로 삼았다. 각각 병의 원인을 미루어 짐작하여 주요한 치료법을 증명하려는 의도인데, 꽤나 상세하다. 그러나 약에는 약 자체의 성질과 맛이 있으니, 이것은 바뀌지 않는 것이다. 약을 쓸 때도 약을 쓰는 규칙이 있으니, 이것은 확정되지 않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약을 쓸 때 서로 보완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배합해 쓰는 경우가 있고, 서로 억제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배합해 쓰는 경우가 있으며, 상반되거나 충돌하는 성질의 약초들을 섞어 사용하는 예도 있다. 여기에서는 당연히 처방을 논의해야 하며, 약의 성질을 논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어떤 처방에 이런 약이 있으니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이 약을 사용한다고 하고, 또 어떤 처방에 이런 약이 있으니 또 어떤 증상이 생겼을 때 이 약을 사용한다고만 말한다면, 이것은 오히려 통발이나 올가미 안에 담긴 물고기와 토끼만 찾는 것과 같다."
황원어 [黃元御]청나라 산동(山東) 창읍(昌邑) 사람. 자는 곤재(坤載)고, 호는 연농(硏農)이다. 제생(諸生)이 되었다. 의사가 약을 잘 못 써서 한 쪽 눈을 잃자 발분(發憤)하여 의학을 공부했다. 『소문(素問)』과 『영구(靈柩)』, 『난경(難經)』, 『상한론(傷寒論)』,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 등이 모두 주석을 다니, 물경 10만 언(言)에 달했다. 이후 여러 고서에도 자신의 의견을 달아놓았다. 병을 다스리는 방법으로 양기를 북돋고 음기를 꺾는 방식을 택했다. 저서에 『주역현상(周易懸象)』과 『소문현해(素問懸解)』 등이 있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튼
튼살흉터치료 후산한의원
분류
전체보기
서유기
삼국연의
서한연의
수당연의
송사통속연의
한의학
당사통속연의
의부전록
관상사주
열국지
태평광기
봉신연의
동한연의
서유기
당사통속연의
속자치통감
불교
오대사통속연의
중국고전
중국역사
한국역사
인문학
본초학
튼살흉터치료 이미지한의원책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