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0 0 0 26 29 0 8년전 0

본초사변록本草思辨錄 1권 2권 1

本草思辨錄본초사변록은 중국 청나라 주암(周岩)이 편찬하여 1904년에 간행된 본초학서로, 전 4권이며, 주로 『상한론(傷寒論)』과 『금궤요략(金匱要略)』의 2책 중에 있는 입방(立方) 의의에 근거하여 128종 약물의 약성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현재 『진본의서집성(珍本醫書集成)』본에 들어 있는 책임 예시문 小青龍湯“若微利者, 去麻黃, 加蕘花”,蓋利則水氣不徑趨膀胱,更以麻黃升太陽,則水道益 澀,水氣必泛而爲脹滿,<太陰篇>所謂“下利清穀, 不可攻表, 汗出必脹滿”也。 소청룡탕에 약간 하리하면 마황을 제거하고 요화를 가미한다고 하니 하리는 수기가 곧장 방광에 이르지 않고 다시 마황으로 태양으로 상승시키면 물길이 더욱 깔깔해지니 수기는 반드시 넘쳐서 창만이 되니 태음편에 이른바 소화되지 않는 곡식을 하리하면 표를 공..
本草思辨錄본초사변록은 중국 청나라 주암(周岩)이 편찬하여 1904년에 간행된 본초학서로, 전 4권이며, 주로 『상한론(傷寒論)』과 『금궤요략(金匱要略)』의 2책 중에 있는 입방(立方) 의의에 근거하여 128종 약물의 약성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현재 『진본의서집성(珍本醫書集成)』본에 들어 있는 책임
예시문
小青龍湯“若微利者, 去麻黃, 加蕘花”,蓋利則水氣不徑趨膀胱,更以麻黃升太陽,則水道益
澀,水氣必泛而爲脹滿,<太陰篇>所謂“下利清穀, 不可攻表, 汗出必脹滿”也。
소청룡탕에 약간 하리하면 마황을 제거하고 요화를 가미한다고 하니 하리는 수기가 곧장 방광에 이르지 않고 다시 마황으로 태양으로 상승시키면 물길이 더욱 깔깔해지니 수기는 반드시 넘쳐서 창만이 되니 태음편에 이른바 소화되지 않는 곡식을 하리하면 표를 공격할 수 없으니 땀이 나면 반드시 창만이 된다고 함이다.
蕘花<本經>主“蕩滌腸胃留癖, 利水道”,則微利不至成滯下,而在上之水氣亦去。
요화는 신농본초경에서 위장의 류벽을 탕척하고 수도를 이롭게 한다고 하니 약한 하리가 이질을 이루지 못함은 위의 수기가 또한 제거됨에 있다.
且其用在花,走裏兼能走表,故<本經>並主“傷寒, 溫瘧, 飲食寒熱邪氣。”
꽃을 사용함은 리증에 달리고 겸해서 표에 달리므로 신농본초경에는 상한, 온학, 음식으로 한열사기를 주치한다.
若以茯苓, 澤瀉治微利,則表邪亦從而陷之矣,此仲聖所以有取於蕘花也。
만약 복령, 택사는 약간 하리를 치료하니 표사가 또 따라 빠지게 되닌 이는 장중경 성인이 그래서 요화를 취함이다.
주암은 1832-1905년 사람으로 자가 백도이며 호는 녹기산인이다. 청나라 말기 명의로 절강 산음 사람이다. 1856년 순천부공관형부주사가 되었고 수도에서 한성 이질을 앓아서 용렬한 의사가 잘못 치료함을 보고 의학에 뜻을 두었다. 의학서적을 두루 보고 황제내경을 깊이 연구했다.
번역자는 홍성민으로 튼살 흉터를 치료하는 이미지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