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58 0 0 84 65 0 13년전 0

본초비요

본초비요는 중국 청나라 왕앙(汪?)이 편찬하여 1694년에 간행된 의서로, 주로 『본초강목(本草綱目)』과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의 2책에서 발췌하여 편찬한 것으로, 근대 본초학 저서 중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고, 현재 영인본과 인쇄본이 나와 있는 책임 목록 본초비요 목차 자서 범례 약성총의 초부 황기 감초 인삼 사삼 단삼 원삼 백출 창출 위유 황정 구척 석곡 원지 석창포 우슬 감국화 오미자 천문동 맥문동 관동화 자완 선복화 백부 길경 제니 마두령 백전 백급 반하 천남성 패모 과루인 천화분 하고초 해조 해대 곤포 독활 강활 방풍 고본 갈근 승마 백지 세신 시호 전호 마황 형개 연교 자소 박하 계소 목적 부평 창이자 천마 진구[진교] 희첨초 위령선 조구등 인우 당귀 궁궁 백작약 적작..
본초비요는 중국 청나라 왕앙(汪?)이 편찬하여 1694년에 간행된 의서로, 주로 『본초강목(本草綱目)』과 『신농본초경(新農本草經)』의 2책에서 발췌하여 편찬한 것으로, 근대 본초학 저서 중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고, 현재 영인본과 인쇄본이 나와 있는 책임
목록
본초비요 목차

자서
범례
약성총의

초부
황기 감초 인삼 사삼 단삼 원삼 백출 창출 위유 황정 구척 석곡 원지 석창포 우슬 감국화
오미자 천문동 맥문동 관동화 자완 선복화 백부 길경 제니 마두령 백전 백급 반하 천남성
패모 과루인 천화분 하고초 해조 해대 곤포 독활 강활 방풍 고본 갈근 승마 백지 세신 시호 전호 마황 형개 연교 자소 박하 계소 목적 부평 창이자 천마 진구[진교] 희첨초 위령선 조구등 인우 당귀 궁궁 백작약 적작약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하수오 목단피 속단 골쇄보 익모초 택란 백미 애엽 연호색 홍화 천초 자초 릉소화 대소계 삼칠 지유 포황 권백 보여 권보자 울금 강황 봉아출 형삼릉 백모근 노근 저근 장미근 파초근 대황 황금 황련 호황련 고삼 지모 용담초 청대 대청 견우 방기 정력 감수 대극 상륙 완화 요화 택칠 상산 려호 목통 통초 택사 차전초 정초 구맥 편축 천선등 지부자 석위 해금사 인진 향유 청호 부자 초오두 백부자 파고지 육종용 쇄양 파극천 호호파 선모 음양곽 사상자 토사자 복분자 질려자 사군자 익지자 사인 백두구 육두구 초두구 향부 목향 곽향 회향 감송향 산내 고량강 필발 연초 금은화 포공영 자화지정 두우슬 학슬 산두근 우방자 산자고 루로 관중 사간 속수자 마린자 피마자 백두옹 왕과 왕불류행 동규자 백선피 비해 토복령 백렴 예지자 한련초 류기노초 마편초 곡정초 청상자 결명자 료실 마발 목별자 신증27종류

목부
복령 복신 호박 송절 백자인 측백엽 육계 계심 계지 구기자 지골피 산수유 산조인 두충 여정자 저실 상백피 상심 상엽 상기생 치자 저령 황백 지실 지각 후박 빈랑 대복피 괴실 고련자 만형자 석남엽 신이 욱리인 금앵자 가자 오약 오가피 춘저백피 유백피 진피 해동피 위유인 밀몽화 부용화 산다화 목근 삼목 오구목 수양류 조각 비조엽 종려 차 오수유 천초 호초 소목 침향단향 자단 강진향 정향 유향 몰약 풍지향 빙편 장뇌 소합향 혈갈 아위 호회 호동루 천이 몰석자 위모 칠 파두 대풍자 형력 죽력 죽여 담죽엽 천죽황 뇌환 적정류

과부
대조 도인 행인 오매 률[밤] 진피 청피 시간 목과 산사 리[배] 비파엽 감람 백과 석류피 지구자 호도 용안육 여지핵 비실 해송자 낙화생 련자 련예수 우 하협 검실 감자[사탕수수] 발제 릉 서과[수박] 신증 9종류

곡채부
갱미 나미 곡아 대맥아 소맥 직 속 교맥 흑대두 적소두 녹두 자편두 담두시 도두 호마 대마인 의이인 어미각 신곡 홍곡 식초 주[술] 비 총[파] 대산[마늘] 해[염교] 호유 생강 건강 흑강 산약 백합 래복 백개자 만청자 운대 마치현 첨과체 동과 사과락 가근 신증 4종류

금석수토부
금 동록 자연동 연 철 밀타승 단사 수은 경분 공청 운모 석고 활석 박초、망초 원명분 태음현정석 적석지 우여량 부석 붕사 뇨사 자석 몽석 대자석 화예석 노감석 양기석 종유 백석영
자석영 웅황 석류황 석해 무명이 반석 비석 석회 백반 단반 조반 청염 식염 급류수 역류회란수 감란수 정천수 백비탕 음양수 황제수 로수 석설수 빙 지장 해인다 백초상 묵 복룡간
감 신증 5종류

금수부
계[닭] 오골계 압[오리] 오령지 야명사 저육[돼지고기] 견육[개고기] 양육 우육[소고기] 우황 백마닉 려닉 아교 황명교 호골 서각 영양각 녹용 녹각 사향 웅담 상피 수달간 위피[고슴도치 가시] 토시[토끼똥] 가서시 신증 6종류

린개어충부
용골 용치 리어[잉어] 즉어[붕어] 석수어[조기] 청어담 례어담 선어[두렁허리] 만려[뱀장어] 염사담 백화사 오초사 사태 해구신 천산갑 해표초 구판 별갑 해[게] 하[새우] 모려[굴껍질] 합분[조개가루] 와릉자 전라[우렁] 석결명[전복] 진주 합석 봉밀[꿀] 로봉방[말벌집] 백강잠 원천사 상표소 선태 오배자 백사 반모 갈 오공 섬수 백경구인 오곡충 신증 7종류

인부
발 인아 인유 자하거 동편 추석 인중황 분청 인중백

예문
추석

補腎水,潤三焦.
추석은 신수를 보하며 삼초를 윤택케 한다.
鹹溫。
추석은 함미와 온기이다.
滋腎水,潤三焦,養丹田,安五臟,退骨蒸,輭堅塊。
추석은 신수를 자양하며 삼초를 윤택케 하니 단전을 길러주며 오장을 편안케 하며 골증열을 물러나게 하며 단단한 덩어리를 연하게 한다.
治虛勞咳嗽,白濁遺精,爲滋陰降火之聖藥。
추석은 허로와 기침, 백탁과 유정을 치료하니 음을 자양하며 화를 내리는 성약이 된다.
若煎煉失道,多服誤服,反生燥渴之患.
만약 달이고 제련함에 방도를 잃고 많이 잘못 복용하면 반대로 건조와 갈증의 질환을 생성한다.
(鹹能走血,且經煆煉,中寓暖氣,使虛陽妄作,則真水愈虧。)
함미는 혈을 달리게 하며 또한 불에 달구고 제련을 경유하면 중간에 온난한 기가 깃들어 허양이 망령되이 만들어지니 진수가 더욱 휴손된다.
《蒙筌》曰∶每月取童便,每缸用石膏七錢,桑條攪澄,傾去清液,如此二三次,乃入秋露水攪澄.
본초몽전에서 말하길 매월 동변을 취하여 매 항아리에 석고 28g을 사용하여 뽕나무 가지로 맑게 저어서 기울여 청액을 제거하여 이처럼 2, 3차례를 하니 가을 이슬을 넣고 맑은 물을 흔든다.
(故名秋石.)
그래서 추석이라고 이름한다.
如此數次,滓穢淨,鹹味減,以重紙鋪灰上晒乾,刮去在下重濁,取輕清者爲秋石。
이처럼 수차례를 하며 찌꺼기와 더러움을 깨끗이 하며 짠 맛이 감소하면 거듭된 종이로 재 위에 깔고 햇볕에 건조하며 중탁한 것을 벗겨내며 경청한 것을 취하면 추석이 된다.
世醫不取秋時,雜收人溺,以皂莢水澄曬爲陰煉,火煆爲陽煉,盡失於道,安能應病?
세상의 의사가 가을 시기를 알지 못하고 잡다하게 사람 소변을 거두어 조협물로 맑게 햇볕에 응달에 말려 제련하며 불로 달구어 양달에 단련을 하니 도를 모두 잃으니 어찌 병에 반응하겠는가?
況經火煉,性卻變溫耶?
하물며 불로 제련함을 경유하면 약성이 온난하게 변하겠는가?
(秋石再研入罐,鐵盞蓋定,鹽泥固濟升打,升起盞上者名秋冰。味淡而香,乃秋石之精英也。)
추석은 다시 갈아 그릇에 넣고 철잔에 덮개로 고정하여 소금진흙으로 몇 되를 쳐서 일어나면 잔 위로 추빙이라고 이름한다. 담미로 향기가 나면 추석의 정미와 뛰어남이다.
(《保壽堂方》∶用童男童女小便,各煉成秋石,其色如雪,和勻加乳汁,日曬夜露,取日精月華,乾即加乳。待四十九日足,收貯配藥。)
보수당방에서 말하길 동남과 동녀의 소변을 사용함에 각자 제련하여 추석을 생성하며 색이 눈과 같으니 고르게 섞어서 유즙을 가미하여 햇볕에 말라고 야간에 이슬을 맺혀 해의 정과 달의 정화를 취하여 건조하면 젖을 가미한다. 49일을 기다리면 족하니 거두어 약에 배합한다.
(《摘玄》曰∶腫脹忌鹽,只以秋石拌飲食佳)。
적현에서 말하길 종창에는 소금을 금기하니 다만 추석을 음식에 섞어 먹으면 좋다.

人中黃
인중황
瀉熱.
인중황은 열을 끈다.
甘寒入胃。
인중황은 감미와 한기로 위에 들어간다.
清痰火,消食積,大解五臟實熱。
인중황은 담화를 맑게 하며 식적을 소멸하며 크게 오장의 실열을 푼다.
治天行熱狂,痘瘡血熱,黑陷不起。
인중황은 유행성 열 발광과 두창과 혈열, 흑색으로 함몰되어 일어나지 않음을 치료한다.
納甘草末於竹筒中,緊塞其孔,冬月浸糞缸中。
감초가루를 대나무통속에 넣고 구멍을 단단히 막아서 겨울에 똥항아리 속에 담근다.
至春取出洗,懸風處陰乾,取甘草用.
봄에 이르러 꺼내 씻고 바람부는 곳에 매달아 응달에 건조하며 감초를 취하여 사용한다.
(亦有用皂莢末者,竹須削去青皮)。
또한 조협가루를 사용하여 대나무는 반드시 청색을 껍질벗긴다.
一云即糞缸多年黃垽,煆存性用。
한 사람은 똥항아리는 다년간 황색 찌꺼기이니 불에 달구어 약성을 보존하여 사용한다고 했다.

糞清
분청

一名金汁 瀉火熱.
분청은 일명 금즙이니 화열을 끈다.
主治同人中黃。
분청의 주치는 인중황과 같다.
用棕皮棉紙,上鋪黃土,淋糞濾汁,入新甕,碗覆埋土中一年,清若泉水,全無穢氣用。
종려나무 겁질과 면종이를 사용하여 위에 황토를 깔고 똥방울을 여과한 즙을 새로운 항아리안에 넣고 사발에 덮어 다시 1년간 땅에 묻어서 샘물처럼 맑으면 완전히 찌꺼기가 없이 사용한다.
年久者彌佳.
해가 오래된 분청이 더욱 좋다.
(野間殘糞下土,篩敷癰疽,如冰著背)。
들 사이에 남은 똥 아래 흙은 체로 걸러서 옹저에 붙이면 얼음처럼 등에 달라붙는다.

人中白
인중백

瀉火
인중백은 불을 끈다.
鹹平。
인중백은 함미이며 평기이다.
降火散瘀,治肺瘀鼻衄.
인중백은 화를 내리며 어혈을 흩어지게 하며 폐어와 코피를 치료한다.
(刮人中白,新瓦火上逼乾,調服即止.)
인중백을 긁어내어 새로운 그릇불위에 핍박하여 건조하니 조복하면 중지한다.
勞熱消渴,痘瘡倒陷,牙疳口瘡。
인중백은 노열과 소갈, 두창이 거꾸러져 함몰하며 아감구창을 치료한다.
即溺垽,煆研用.
인중백은 소변찌꺼기이니 불에 달구어 갈아 사용한다.
(以蒙館童子便桶、山中老僧溺器刮下者,尤佳)。
몽관 동자의 소변통은 산중의 노승의 소변 그릇을 아래를 긁어냄이 더욱 좋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